2024년 4월 20일
교구/주교회의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독박육아에 노키즈존 논란까지… 두 번 우는 엄마들

가톨릭평화방송 라디오 프로그램 '열린세상 김혜영입니다'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아이를 동반한 고객의 출입을 금지하는 ‘노키즈존(NO Kids Zone)’. 최근 국가인권위원회가 아동 차별이라면서 노키즈존 식당의 개선을 권고했다. 하지만 법적 강제성이 없어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 국회의원이자 한 아이의 엄마인 장하나 ‘정치하는 엄마들’ 공동대표에게 노키즈존에 대한 견해를 들어봤다.

 

▶노키즈존 논란 어떻게 바라보나.
 

굳이 특별한 영업장에서 노키즈존을 선언하지 않더라도 대한민국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노키즈존이라고 느낀다. 편하게 갈 수 있는 장소가 거의 없다. 대한민국 사회가 엄마들, 특히 아이를 동반한 엄마들한테 아주 배타적이다. 이미 차별을 많이 느끼는데 이런 현상까지 더해져서 열띤 논란이 불가피한 게 아닌가 싶다.

 

▶아이를 키우는 엄마들도 노키즈존을 이해한다는 이들이 있는데.
 

식사하는 장소에서 아기 기저귀를 간다거나, 아이들이 몹시 소란한데 주변의 양해를 구하지 않고 뻔뻔하게 ‘그래서 어쩔 것이냐. 아이가 통제가 안 되는 게 당연하지 않으냐’는 식으로 나오는 몇몇 부모들을 거론하면서 노키즈존이 이해된다는 글을 SNS에서 많이 봤을 것이다. 그러나 노키즈존 설정은 사업주의 자유 영업권으로만 봐야 할 부분이 아니다. 노키즈존이 늘어나는 추세가 오히려 다른 선진국에 비해 부끄러운 현상이지 않을까 싶다.


 

▶공공장소에서 소란을 피우는 아이들 때문에 불편을 겪었다는 응답이 90가 넘는 조사 결과도 있다.
 

3살짜리 아이를 키우고 있는데 식당에 가면 정말 불편하다. 하지만 불편을 감수할 것인가와 오지 말라고 할 것인가의 문제는 다르다. 예를 들어 미국 영화를 보면 부부가 외식을 간다거나 외출할 때 옆집 10대 소년소녀들이 아르바이트로 베이비시터(아이를 봐주는 도우미)를 한다. 맡기고 가는 것이다. 정말 그러고 싶다.

 

▶육아 여건이 그만큼 어렵다는 것인가.
 

엄마들에게 선택권이 있는지를 봐야 한다. 단기간 보육, 시간제 보육 같은 제도들은 사실 국가 책임이다. 이를 못했기 때문에 부작용이 벌어지는 것이다. 엄마들이 아이들 단속을 안 해서라거나 식당에 굳이 애들을 데리고 나와 민폐를 끼친다고 봐야 할 사안이 전혀 아니다. 한국적 특수성을 똑똑히 봐야 해결될 부분이지 한국 엄마들이 유독 개념이 없어 아이들에게 관대하다는 식의 생각은 잘못됐다.

 

▶국가인권위원회 권고가 강제성이 없다는데 앞으로 어떻게 해결해 나가면 좋을까.
 

대한민국 엄마들이 독박육아를 하면서 힘든 이유는 경력이 단절되고 사회적 자아를 모두 잃어버려서다.
 

아직도 엄마 두 명 중 한 명이 부당 해고에 가까운 일을 당한다. 회사에선 퇴사를 종용하고, 애를 키우면서 일하는 것에 대한 배려가 없다. 가사와 육아는 장시간 노동으로 배우자와 분담도 안 된다. 이런 상황에서 외식 횟수가 많을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엄마들이 엄마 파업을 하지 않은 것만 해도 신기하다. 이럴 정도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장하나 공동대표(정치하는 엄마들)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17-12-14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4. 20

1사무 2장 8절
주님께서는 가난한 이를 먼지에서 일으키시고 영광스러운 자리를 차지하게 하시는도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