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0일
사람과사회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말과 침묵] 저 거룩한 수도원

김소일 세바스티아노( 보도위원)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김소일 세바스티아노( 보도위원)



“솔직히 말하면 나는 한때 스님이 되고 싶었다.” 지금은 고인이 되신 작가 최인호의 고백이다. 실제로 친한 스님의 승복을 빌려 입고 압구정동 거리를 걷기도 했다. 그가 꿈꾼 스님은 치열한 구도승이었다. “땡중이 아니라 진짜 중, 면도날처럼 기가 살아 있는 중, 생사의 허물을 벗기 위해 백척간두에 홀로 서서 한 발자국 더 나아가는 시퍼런 중”이었다. “한참을 살다가 언제 가는지도 전혀 모르게 대숲을 지나는 바람처럼 왔다가 물 위에 비친 기러기처럼 사라지는 중”이 되고 싶다고 했다.

그는 1987년 ‘베드로’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그 체험을 ‘벼락을 맞는 충격’으로 묘사했다. “110V도 아니고 220V도 아닌 엄청난 벼락이 제 몸의 피뢰침을 향해 내리꽂혔다”고 썼다. 한동안 서울주보 ‘말씀의 이삭’란에 그의 독특한 묵상 글이 실렸다.

가톨릭 신자가 스님이 되고 싶다니? 묻는 이에게 그는 대답했다. “내 감정은 비단 스님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나는 스님도 되고 싶고, 은수자도 되고 싶고, 수도원의 종지기도 되고 싶다.” 그가 그리워한 것은 결국 수행과 구도의 삶이었다.

불교 조계종은 연초에 ‘특수 출가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했다. 은퇴 후 출가를 원하는 이들에게 문을 열겠다는 것이다. 전문성을 갖춘 은퇴자를 받아들여 전문 분야의 소임을 맡긴다는 구상이다. 세상 번뇌에 시달리던 직장인들이 솔깃한 반응을 보였다.

가톨릭과 불교는 서로 비슷한 수행 문화를 갖고 있다. 선불교에 장좌불와 용맹정진의 참선 문화가 있다면, 가톨릭에는 사막의 은수자로부터 이어져 온 치열한 수도 문화가 있다. 기도와 노동으로 이뤄진 단순한 삶의 전통은 오늘날 남녀 수도원에 면면히 흐른다.

두 종교의 수행에는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불교적 수행이 해탈을 목표로 한다면, 가톨릭은 신비적 합일과 구원의 은총을 갈구한다. 깨달음은 철저하게 고독한 수행을 요구한다. 가족도, 이웃도 버리고 무소의 뿔처럼 홀로 가야 한다. 가톨릭 수도 문화는 공동체적 사랑을 중시한다. 형제와 이웃을 사랑하지 못하면 은총도, 구원도 얻지 못한다.

때늦은 출가는 쉽지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 가족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원망하는 가족을 뒤에 둔 출가는 무책임한 도피일 뿐이니, 조계종에서도 환영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에겐 평생 내려놓을 수 없는 십자가가 있다. 가족은 가장 큰 기쁨의 원천이면서 또한 끝까지 보듬어야 할 대상이다. 오늘날 많은 가장이 가족 부양을 힘겨워하면서도 기꺼이 그 수고를 감당한다. 가족을 사랑하지 못하면 이웃도, 친구도, 하느님도 사랑할 수 없다.

작가 최인호 베드로는 결국 이렇게 말한다. “아내와 아들딸을 둔 내 가정이야말로 평생 수도원이니 나는 이 수도원에서 죽을 때까지 평수사로 살아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삶의 무게로 휘청거리는 오후, 수도원을 그리는가? 서 있는 그곳이 바로 수도원이다. 목표가 사랑일진대 가정이야말로 가장 거룩한 수도원이다. 고통 없는 삶이 어디 있으랴. 삶이 곧 수행이니, 제 십자가를 지고 묵묵히 걷는 저들이 모두 수도자다. 힘겨운 노동과 더불어 틈틈이 기도할 수 있다면 그곳은 어디나 수도원이다. 기도로 하루를 시작하고, 삼종 소리에 잠시 고개를 숙이는 그대는 이미 수도원에 있다.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16-05-11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4. 20

에페 4장 32절
서로 너그럽고 자비롭게 대하고, 하느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여러분을 용서하신 것처럼 여러분도 서로 용서하십시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