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1일
사람과사회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시사진단] 사회 갈등, 이대로는 안 된다(표정훈, 요한 사도, 출판평론가)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틀니에서 딱딱 소리가 난다는 걸 비유해 ‘틀딱’이라 일컬으며 노인을 비하한다. 특정 지역에서 많이 나는 수산물인 홍어를 그 지역 사람들을 비하하는 데 쓰기도 한다. 각각 세대 갈등과 지역 갈등이 ‘혐오’ 표현으로 나타난 경우다. 사회 갈등에 대한 여러 연구 조사는 우리 사회의 갈등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걸 보여준다.

OECD 34개국의 사회 갈등 지수(2014년)에서 우리나라는 멕시코, 터키에 이어 세 번째로 갈등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OECD 국가 평균보다 18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만 한 해 3조 3000억 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행정연구원 정동재 부연구위원이 37개국을 대상으로 3개년(2005ㆍ2010ㆍ2015년)에 걸쳐 조사한 결과로는, 우리나라의 2015년 기준 사회갈등지수는 37개국 가운데 여섯 번째로 높았다.

특히 사회 구성원 간 가치관 차이가 가장 심각했으며, 사회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의(代議) 제도 역량이 32위로 최하위 수준이었다. 우리나라 갈등 지수가 만일 세 번째로 낮은 스웨덴 수준으로 줄어들면 1인당 GNP가 13까지 증가할 수 있다고 한다.

사회 갈등을 풀기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2010년 초 출범했던 대통령 소속 사회통합위원회가 대표적이다. 사회통합위원회는 계층, 이념, 지역, 세대 등 네 가지로 갈등의 양상을 나누어 정책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사회통합위원회가 출범 당시 ‘4대 갈등’ 해소에 접근하려는 의욕은 제법 높았고 일정 부분 기대도 모았지만, 성과는 용두사미에 가까웠다. 2013년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신설된 국민대통합위원회도 마찬가지였다.

이념과 지역 갈등은 정치인들이 정략적으로 조장하고 이용하면서 증폭된 측면이 있다. 선거 때마다 지역주의를 선동해 표를 얻고자 하는 일이 많았다. 상대 진영이나 특정 개인에 이념을 덧칠하는 색깔론도 잦았다. 예전에 비하면 지역 갈등이 약해진 것 같지만, 이제는 서울과 비(非)서울,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갈등이 커지는 추세다. 이념 갈등도 유튜브나 SNS 등을 통해 진영(陣營) 논리가 더욱 강해지는 양상이다.

세대 갈등은 저출산 고령화 추세 속에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계층 갈등은 소득 양극화가 심각해지면서 역시 커진다. 최근에는 여성과 남성의 성별(性別) 갈등이 다양한 사안을 두고 성 대결 양상이 펼쳐지며 커지는 추세다. 갈등의 구조적 원인을 해소하려는 노력이 시급하다. 갈등 없는 사회는 불가능하지만, 갈등을 완화하는 제도를 마련할 수는 있다.

이러한 구조적 접근 외에도 나와 다른 개인과 집단으로서의 타인(他人)을 이해하고 소통하며 포용하려는 노력도 중요하다. 종교의 중요한 사회적 역할이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본다. 화해와 평화의 가치를 실천하는 것이야말로 오늘날 교회와 신자들의 시대적, 사회적 사명이다.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19-01-23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4. 21

로마 8장 28절
하느님을 사랑하는 이들, 그분의 계획에 따라 부르심을 받은 이들에게는 모든 것이 함께 작용하여 선을 이룬다는 것을 우리는 압니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