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29일
사목/복음/말씀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가톨릭 신앙의 보물들<17> 제2차 바티칸공의회-(상)신정훈 신부(가톨릭대 성신교정 교수)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 제2차 바티칸공의회는 사회로부터 점점 멀어지던 교회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 일으켰다. 사진은 성 베드로대성전에서 열린 공의회에 참석한 주교단. 【CNS】

교회가 자신이 누구인가를 생각하게 된 것은 근대에 이르러서다. 이를 위해 1869~1870년 제1차 바티칸공의회가 열렸다. 그런데 이 공의회는 불안한 정세 속에서 교회에 관해 충분히 논의하지 못하고 교황직에 대해서만 다룬 채 중단됐다. 그로부터 약 1세기 후, 중단됐던 공의회 의제인 교회를 계속 다루기 위해 1962~1965년 제2차 바티칸공의회가 개최됐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 배경

 제2차 바티칸공의회를 소집한 이는 착한 교황이란 별명을 지닌 요한 23세 교황이다. 1958년 비오 12세 교황 서거 후 후임자를 뽑는 콘클라베는 쉽게 끝나지 않았다. 유력한 두 교황 후보 사이에서 결정이 쉽게 나지 않자 추기경들은 제3의 후보였던 당시 78세의 고령인 베네치아대교구장 조반니 론칼리 추기경을 새 교황으로 선출했다.

 추기경들은 새 교황에게 큰 기대를 걸었다기보다 과도기의 교황으로 잠시 교회를 이끌어주기를 바랐던 것이다. 하지만 교황은 짧은 시간 동안 교회 내 많은 것을 바꿨다. 박봉으로 살아가던 교황청 직원들의 월급을 두 배로 올렸고, 밤에는 평복을 하고 시내에 나가 일반 신자들의 생각을 알아보기도 했다. 첫 성탄에는 청소부들이 모여 있는 곳에 가서 일 때문에 가족과 성탄을 지낼 수 없는 이들과 성탄 미사를 봉헌했다.

 착한 교황 요한 23세의 가장 큰 업적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 소집이다. 교황 즉위 100일도 채 지나지 않은 1959년 1월 25일 사도 바오로의 개종 축일 미사를 마치고 나오면서 추기경단과 기자들 앞에서 공의회 소집을 선포했다. 이단을 통한 교회의 위기가 없는데도 왜 공의회를 소집하느냐고 묻는 사람들에게 교황은 교회가 답답하다고 말씀하시면서 "창문을 열고 교회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기를 바란다"고 답했다. 이렇게 소집된 공의회는 3년간의 준비기간을 거쳐 1962년 10월 11일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2000여 명의 전 세계 주교들이 모인 가운데 장엄하게 시작했다.

 공의회의 표어는 `aggiornamento` 였다. 금일화 또는 현대화라고 번역할 수 있는 이 용어는 원래 교회 용어라기보다는 상점에서 쓰는 말이었다. 봄이 되면 여름옷을 진열하고 여름이 되면 가을옷을 준비하는 상점의 모습처럼 교회 가르침도 그 내용을 바꾸는 것은 아니지만 표현에 있어 시대에 맞게 변화해야 한다는 취지다.

 사실 가톨릭교회는 18세기 말부터 급격한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발달, 그에 따른 세계 변화를 수용하고 유연하게 대처하기보다는 세상에 대해 경계하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런 자세는 이성을 내세우는 근대 학문이나 이를 반영한 새로운 신학 내지 민주주의 같은 새로운 정치제도를 교회가 수용할 수 없도록 만들었다. 교회는 사회로부터 점차 멀어지며 고립된 사회를 이루고 있었다.

 교황께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에 신선한 바람, 즉 바람으로 표현되는 성령의 이끄심을 따라 시대의 징표를 알아보는 교회의 새로운 자세가 필요하다고 느꼈던 것이다.

 

 제2차 바티칸공의회 경과

 공의회가 시작했을 때 준비위원회는 10개의 공의회 초안을 준비했다. 이 초안들이 공의회 교부인 지역 주교들에게 별다른 수정 없이 그대로 받아들여져 공의회는 곧 끝나리라 예상했다.

 하지만 예상은 완전히 빗나갔다. 공의회장에 모인 주교들은 공의회가 주교들의 회의라는 것을 자각했고, 준비됐던 10개의 초안은 모두 기각했다. 이후 공의회 문헌을 작성하는 새로운 신학위원회가 구성됐다. 이 위원회에는 교황청 관리뿐만 아니라 지역 주교들이 대거 참석했고, 1950년대 진보적 신학을 가르친다는 이유로 교황청의 제재를 받았던 칼 라너, 이브 콩가르, 앙리 드 뤼박과 같은 현대 신학자들이 새로이 참여했다.

 1963년 공의회가 다음 회기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교황 요한 23세가 서거했다. 공의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교회에 새로운 전망을 제시했던 당시 밀라노대교구장이 바오로 6세 교황으로 선출됐고 공의회는 재개될 수 있었다. 공의회는 이로부터 3년 후인 1965년 12월 8일 16개의 문헌을 내놓으면서 폐회했다.

 공의회의 또 다른 큰 특징은 교회일치다. 1959년 요한 23세 교황이 공의회를 소집하면서 "이번 공의회는 일치 공의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1054년 동서교회의 분열과 1517년 루터의 종교개혁에 따른 서방 교회의 분열을 거치면서 보편 공의회는 그리스도교 전체 세계를 아우르는 이름을 지녔지만 실제 모습은 그러지 못했다. 동방교회와 서방 가톨릭으로부터 떨어져 나간 개신교도 공의회에 참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교황은 1960년 그리스도교 일치 촉진을 위한 사무국을 설치하고 교황청 성서대학을 오랫동안 이끌었던 아우구스티누스 베아 추기경을 책임자로 임명했다. 추기경은 탁월한 경험과 교회일치를 위한 열정으로 개신교, 정교회와 접촉을 시작했다. 그 결과 세계교회협의회와 러시아정교회 신학자들을 공의회 공식 참관인으로 초청할 수 있었다. 이들은 의안에 대한 투표권은 없었지만, 공의회 모든 과정을 지켜보며 공의회 문헌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공의회는 교회일치 운동의 바탕인 `일치교령`을 반포했을 뿐만 아니라 공의회 기간 중 교황 바오로 6세와 동방교회를 대표하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아테나고라스 총대주교의 만남을 계기로 1054년 있었던 동서교회의 상호 파문을 철회하고 일치를 위한 대화를 시작하게 됐다.

 정리=백영민  기자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14-04-18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3. 29

시편 90장 16절
주님께서 하신 일이 주님의 종들에게, 주님의 영광이 그 자손들 위에 드러나게 하소서.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