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0일
사람과사회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가톨릭 생명윤리, 실천적 목소리 보태면 호응 높아질 것

국가생명윤리정책원 김명희 신임 원장, ‘생명윤리는 우리 삶과 떼려야 뗄 수 없는 문제’ 인식해야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윤리의 한자를 풀어보면 무리 윤(倫)에 이치 이(理)를 씁니다. 함께 살아가는 데 반드시 필요한 이치라는 뜻이지요. 윤리적 고민과 생각을 고리타분하고 실생활과 떨어져 있다고 보는 건 잘못된 생각입니다. 특히 생명윤리는 삶의 전반을 아우르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만큼 중요한 문제죠.”

1월 6일 자로 제5대 국가생명윤리정책원 신임 원장으로 임명된 김명희(로사, 59, 사진) 원장은 생명윤리가 우리 삶과 동떨어져 있는 가치가 아님을 강조했다. 그는 “생명윤리가 기술 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편견은 우리 사회가 기술 중심으로, 먹고 사는 중심으로 압축 성장을 해온 부작용”이라며 “윤리야말로 우리 사회를 지속 가능케 하는 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2012년 국가생명윤리정책원(당시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설립 때부터 정책원에 몸담아 왔다. 연구부장으로 시작해 사무총장(4년)을 거쳐 올해 원장에 임명됐다. 그만큼 정책원의 역할과 나아갈 방향을 잘 알고 기관을 끌고 갈 적임자라는 평가다. 김 원장은 “6명으로 시작한 연구 기관에서 60여 명이 일하는 정책 기관으로 성장한 정책원이 공공기관으로서 행정력과 조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책원은 2012년 1월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를 지원하는 비영리기관으로 설립됐다. 이후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 기관위원회평가인증사업단 업무가 더해지며 정책 연구 이외의 사업 영역이 늘어났다. 2016년 연명의료결정법 제정에 따라 연명의료관리센터도 정책원이 맡게 됐다. 지난해부턴 재단법인에서 공공기관으로 전환됐다. 김 원장은 “해야 할 일은 늘어나는데 인력이 부족한 건 부인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생명윤리 문제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연구하지 못해 아쉽다”고 토로했다.

가톨릭 신자인 김 원장은 “가톨릭교회의 생명윤리는 굉장히 보편적인 이야기인데, 사람들에겐 특정 종교의 이야기로만 인식되고 있다”면서 “교회 가르침을 전달하는 방식에 변화를 주고 실천적 방법을 보완한다면 교회와 함께하는 사람들이 많아질 것”이라고 조언했다.

“낙태 문제의 경우 낙태 자체를 반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낙태하지 않을 환경을 만들고 생명을 낳아 기를 수 있는 문화와 제도를 구축하는 데 교회가 좀더 실천적인 목소리를 내야 합니다. 낙태수술을 하지 않는 산부인과 의사들을 격려하고 돕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고요. 교회의 생각이 사회 안에서 구체적인 행동으로 자리를 잡아야 할 것입니다.”

그는 “교회의 생명 가치관이 곧 저의 가치관”이라며 “학자로서도 이를 바탕으로 공부하고 연구하고 활동해 왔다”고 말했다. 정부 정책과 제도가 자신의 가치관과 충돌할 경우 “타협하지 않고 제 의견을 전달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제도와 정책을 마련할 때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참조해서 결정합니다. 저는 어느 상황이든 제게 맡겨진 역할에 충실할 것입니다.”

김 원장은 1986년 연세대 의대를 졸업하고 마취과 전문의를 지냈다. 이후 대한적십자사 혈액원 연구실장으로 자리를 옮긴 뒤 서울대교구 한마음한몸운동본부 생명운동본부장, 국민건강보험공단 전문연구위원, 이화여대 생명윤리정책연구센터연구교수, 한마음혈액원 부원장 등을 역임했다. 1998년 연세대에서 보건학 석사, 2004년 의료법윤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수정 기자 catherine@cpbc.co.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20-02-19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4. 20

로마 5장 4절
인내는 수양을, 수양은 희망을 자아냅니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