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9일
생명/생활/문화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제23회 가톨릭미술상 본상 수상자 이정지 화백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수상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성모 마리아나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담은 성화와 같은 보다 ‘직접적인’ 성미술 작업을 했다면 한 번쯤 기대를 해볼 수도 있었을 텐데, 오랜 시간 추상 작업을 해 왔기 때문에 애초부터 생각을 안 했었죠.”

2월 12일 서울 마포구 성산동 아틀리에에서 만난 제23회 가톨릭미술상 본상 회화 부문 수상자 이정지(루치아·79) 화백은 아직도 수상 사실이 실감나지 않는다고 했다.

하지만 40년이 넘는 긴 시간 동안 서울가톨릭미술가협회에서 꾸준히 활동하며 매년 전시에 출품해 온 그간의 우직함을 생각하면 이번 수상에 대해 저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이 화백에게 그림이란 평생토록 ‘수단’이 아닌 ‘목적’이었다.

숙명여중고 재학 시절, 미술반에서 방과 후 특별활동을 하며 재능을 발견한 이 화백은 그저 그림이 좋아서 집안의 반대를 무릅쓰고 홍익대 미대 회화과에 진학한다.

“저는 야심이 없었어요. 국전 출품에도 별 관심이 없었고 그저 화가가 되겠다는 꿈만 꿨지요. 하지만 마음 속 한구석에 내 작업에 대한 자신감만은 있었습니다. 이런저런 것들에 휩쓸리지 않고, 아무도 몰라줘도 그 속에서 내가 가진 본질을 찾아가려고 오래도록 노력했을 뿐이었지요.”

이 화백은 오래전부터 아방가르드 경향의 작품을 주로 해 온 선구자였다.

1980년대부터 당시로는 드문 강렬한 화풍의 단색조 회화 작업으로 국내외에서 인정을 받았다.

하지만 파격적인 작품과 달리 이 화백의 일상은 단순하고 정확하다.

그는 새벽 6시에 기상을 해 묵주기도로 일과를 시작한다. 오전에는 작업을 하고, 점심 식사 후에는 주로 화단(畵壇)과 관련한 바깥일을 본다. 한국여류화가협회 고문 등 화단의 원로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집으로 돌아와 저녁에 작업 시간을 한 번 더 가지고 다시 묵주기도로 하루를 마무리하고 11시쯤 잠자리에 든다. 이러한 일상을 오랜 시간 지속해 왔다.

꾸준함의 힘으로 이 화백은 많은 대작들을 그려냈다. 가로·세로 2미터 내외의 200호, 300호짜리 작품들도 수두룩하다.

이 화백의 말에 따르면, 이렇게 모은 작품들이 빛을 못 보고 ‘어두운 작업실 구석에 쌓여 있는 것이 불쌍해’ 2018년 말 성미술전을 마련했다. 기하학적인 구성 외에 기도문이나 성경 말씀을 함께 넣은 참신한 시도가 좋은 평가를 받았다.

“성미술 작가들은 늘 깨어 있고 기도해야 합니다. 죽을 때까지 어떻게 살 것인가, 무엇을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하지요. 그래야 거기서 하느님을 찾고 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우리 나이로 팔십인 이 화백은 지금도 늘 새로운 시도를 모색하고 있다.

창작이란 기존의 것을 답습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작업을 계속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 그의 신조다.

코로나19 때문에 가톨릭미술상 시상식이 연기돼 더더욱 수상이 실감나지 않는다는 이 화백은 3월 10일부터 서울 인사동 선화랑에서 1990년대 작품을 모은 개인전을 가질 예정이다.


김현정 기자 sophiahj@catimes.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신문 2020-02-19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4. 19

아모 4장 12절
이스라엘아, 너의 하느님을 맞이할 준비를 하여라.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