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교구
가톨릭정보
뉴스
메일
갤러리
자료실
게시판
클럽
MY
로그인
ENGLISH
성경
성경쓰기
가톨릭 뉴스
소리광장
가톨릭 성인
성지/사적지
가톨릭 성가
생활성가
매일미사
성무일도
사목수첩
기도문
가톨릭 교리서
교리서 요약편
바티칸공의회문헌
교회 법전
7성사
가톨릭 사전
전국주보
본당정보
자료실
게시판
가톨릭 갤러리
가톨릭 주소록
상단 메뉴 열기
2025년 7월 15일
전체
교구/주교회의
본당/공동체
세계교회
기관/단체
사람과사회
기획특집
사목/복음/말씀
교구/주교회의
교구/주교회의
닫기
검색창 열기
메인메뉴
전체뉴스
교구/주교회의
본당/공동체
세계교회
기관/단체
사람과사회
기획특집
사목/복음/말씀
생명/생활/문화
사진/그림
가톨릭미디어
사목/복음/말씀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사목/복음/말씀
[인터넷의 수호성인 카를로 아쿠티스] 가난한 이들 곁에 머문 믿음
(10) 가난한 이들을 향한 사랑
차가운 땅바닥에서 잠든 노숙인을 위해 음식과 함께 1유로를 건네는 카를로 아쿠티스. AI 생성 이미지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야
가톨릭평화신문
2025-7-10
[생활 속의 복음] 영원한 생명으로 가는 가교, 이웃...
외젠 들라크루아 작착한 사마리아인’, 1849년 오늘 복음은 어떤 율법 교사가 예수님을 시험하는 질문으로 시작됩니다. 율법 교사의 질문 내용을
가톨릭평화신문
2025-7-10
[금주의 성인] 마르첼리나 (7월 17일)...
마르첼리나 성인. 굿뉴스 마르첼리나 성녀는 327~330년쯤 당시 서로마 황제가 머물던 오늘날 독일 남서부 트리어에서 태어났습니다. 마르첼리나는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일찍
가톨릭평화신문
2025-7-10
온라인에서 친절하게 다가오는 사람 조심...
온라인에서 친절하게 다가오고 도움을 주겠다고 하는, 신원을 알 수 없는 사람의 말은 의심할 필요가 있다. OSV 제8장 사랑을 무너뜨리는 장애물 전개 2. 디지털 성범
가톨릭평화신문
2025-7-10
죄를 탓하기 전에 안아주시는 분
우리는 하느님을 자비로운 분이라고 고백하지만, 실제로는 우리 생각과 기준에 맞춰 임의대로 무자비한 하느님을 생각하고, 그에 따라 세상과 사람을 판단하고 재단하는 경우가 많다
가톨릭평화신문
2025-7-9
욕망 부추기는 과도한 탐욕 경계해야 건강한 삶...
끊임없이 무엇인가 성과를 내야 한다는 압박감에 스스로를 닦달하는 현대사회를 욕망의 과잉시대라고 불러도 전혀 과하지 않다. 재독 철학자 한병철(1959~ )은 현대사회를긍정성의 과
가톨릭평화신문
2025-7-9
사도들의 정통 신앙 계승한 교회의 아버지, 교부...
교부들은 사도들로부터 이어오는 신앙을 해설하고 정통 교리를 수호함으로써 교회 성장과 발전에 이바지했다. 베르니니 작사도좌’, 1657~1666년, 금도금 청동, 바티
가톨릭평화신문
2025-7-9
많이 조회한 뉴스
1
[인터넷의 수호성인 카를로 아쿠티스] 가난한 이들 곁에 머문 믿음
2
[생활 속의 복음] 영원한 생명으로 가는 가교, 이웃
3
개인적 지식·깨달음만 좇는 이단 ‘영지주의’ 출현
4
죄를 탓하기 전에 안아주시는 분
5
주님께 모든 것 맡기는 지혜
6
채팅·앱 통해 이성 만날 땐 로맨스 스캠 주의
7
[금주의 성인] 레오 이냐시오 만진 (7월 9일)
최근 등록된 뉴스
[인터넷의 수호성인 카를로 아쿠티스] 가난한 이들 곁에 머문 믿음
[생활 속의 복음] 영원한 생명으로 가는 가교, 이웃
[금주의 성인] 마르첼리나 (7월 17일)
온라인에서 친절하게 다가오는 사람 조심
죄를 탓하기 전에 안아주시는 분
욕망 부추기는 과도한 탐욕 경계해야 건강한 삶
사도들의 정통 신앙 계승한 교회의 아버지, 교부
QUICK MENU
넓은 마음
“네가 화를 내는 것이 옳으냐?”(요나 4,4) 어느 성당에 특강을 갔다가 화장실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화장실에는 이런 글이 쓰여 있었습니다. &
유다와 베드로
제주 성 이시돌 ‘은총의 동산’ 십자가의 길 제1처 ‘유다’ 제주 ‘은총의 동산 십자가의 길&rsqu
삶의 방향
하루에도 수없이 많이 일어나는 교통사고의 근본 원인은 무엇일까요. 운전자들이 교통법규를 잘 지키지 않고 무시하기 때문입니다. 남들보다 조금 빨리 가기 위해 속도위반은 물
[금주의 성인] 성 루이지 스크로소피 (4월 3일)...
루이지 스크로소피 성인. 굿뉴스 루이지 스크로소피 성인은 1804년 8월 4일 이탈리아 북부 프리울리 지역의 우디네에서 신심 깊고 자애심 많은 그리스도인 가정에서 태어나
나와 다른 이성이라는 특별한 선물
한 남성이 자녀에게 입을 맞추고 있다. 고유한 인격을 지닌 남성이 자신의 성적 특성과 생식 능력을 자각하는 일은 자신의 성에 책임지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OSV 제4장
신학과 이성의 조화·진리 탐구의 길잡이 「신학대전」 집...
서울 도미니코 수도회의 토마스 아퀴나스 성인화. ‘영혼을 돕는 공부’의 결실인 「신학대전」 ‘우리의 공부는 주로 그리고 열정적으로, 우리
세계관, 삶의 방향 설정하는 중요한 이정표...
세계관은 인간 삶에서 생각·신념·가치, 그리고 행동을 가름하는 경계이자 그것을 판단하는 중요한 척도다. 세계관은 자연과 사물의 의미 연관, 인간 존재의
[말씀묵상] 쥐엄나무에서 얻는 교훈...
오늘 복음에는 ‘되찾은 아들의 비유’가 나옵니다. 이는 하느님과 백성의 관계를 부자간에 견주며 가르치시려고 예수님이 사용하신 비유로, 구약성경에도 비슷하게 자주 등장하던 것입니다.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진리를 찾는 진실한 사...
철학과 예술이 발달했던 아테네에서 거지꼴을 한 노인이 거리에서 큰소리를 외치고 있었다.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그 노인의 주변으로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그는 사람들에게
[묵시록으로 읽는 믿음과 삶] 라오디케이아에 보내진 편...
라오디케이아는 기원전 3세기 안티오쿠스 2세에 의해 건립된 도시다. 에페소와 동쪽 지역을 잇는 도로 가운데 위치하여 상업적으로 번성한 곳이었다. 로마의 문인 키케로에 의하면 라오디
희망을 찾아 나서자
희년을 지내고 있다. 그런데 이상하리만치 희년 분위기가 나지 않는 것은 필자만의 느낌일까. 극심하게 혼란스러운 우리나라의 현 상황도 이런 분위기와 무관하지는 않을 것이다.
순교로 복음 증거하고 선교한 사도 시대 그리스도인...
‘선교’와 ‘순교’는 마치 동전의 양면처럼 긴밀하게 결합해 있습니다. 초대 교회 사도들과 그리스도인들은 “너희는 가서
구세주 탄생 기뻐하고 주님께 감사드리는 성탄...
성탄(聖誕) 시기 전례력으로 성탄 시기는 12월 25일 주님 성탄 대축일부터 다음해 1월 주님 세례 축일까지입니다. 주님 탄생과 함께 기쁨의 축제를 시작하는 것입니다. 예
[생활속의 복음] 사순 제4주일 - 죄인을 사랑하시는 ...
렘브란트 작 ‘돌아온 탕자’, 1669년. 오늘 복음에서 바리사이들과 율법학자들은 예수님께서 죄인들을 받아들이시고 그들과 함께 음식을 드시는 것에
세상에 공짜는 없다
인내(忍耐)는 분노(忿怒)의 반대말로, ‘괴로움이나 어려움을 참고 견딘다’라는 한자어이다. 이 말은 시대를 불문하고 누구에게나 꼭 필요한 소양(素養
9원의 십자가
친구와 대화를 나누던 중 아빠로서 각자 자녀의 연애와 결혼에 대해 이야기한 적이 있다. 친구는 두 딸이 너무나도 귀하고 소중한 존재이기에 다른 남자를 만난다는 것은 절대로 인정할
행복한 마지막을 꿈꾸며
올리버 허머너스 감독, 영화 <리빙: 어떤 인생> 포스터 우리네 삶이 끝나고 주님과 마주할 때 어떤 질문을 받게 될까요? 제 생각엔 이렇게 물으
회칙 「찬미받으소서」 (1)
회칙을 읽기에 앞서 (1) 2015년 6월,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는 2000년 교회 역사상 처음으로 생태 문제를 주제로 한 회칙 「찬미받으소서(Laudato S i’)
[금주의 성인] 성 레베카 (3월 23일) ...
레베카 성인. 굿뉴스 가톨릭교회 안에는 로마 예식 외에도 다른 전례 예식이 있습니다. 레베카 성인은 동방 전례의 가톨릭교회인 마론 전례를 따랐습니다. 그는 1832년 6월
호르몬 변화에 따라 감정·행동 달라집니다...
청소년들이 2024년 9월 9일 파푸아뉴기니 포트 모르즈비의 존 가이스 경기장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을 환영하며 환호하고 있다. 성 호르몬은 청소년기 2차 성징이라는 성적 특성 발
이전
1
2
3
4
5
6
7
8
현재 페이지
9
10
다음
서울대교구청 전화번호
서비스약관
개인정보 보호정책
도움방
전체보기
운영자에게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등록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