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7일
사람과사회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현장돋보기] 스포츠는 국력이 아니다, 복지다

맹현균 (마태오, 보도기획부 기자)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우리나라 올림픽 중계에서는 “대한민국의 ○○○ 선수, 직업이 경찰입니다”라고 소개하는 모습을 보기 어렵다. 하지만 외국에서는 이런 일이 드물지 않다. 평창 올림픽에서 3관왕을 차지한 프랑스의 마틴 푸어카드는 현역 군인이다. 캐나다 여자컬링 대표팀에는 디자이너와 간호사가 포함돼 있다. 여자 스피드스케이팅 500m에서 이상화 선수와 열띤 경쟁을 펼친 고다이라 나오는 스포츠 장애예방센터에서 일했다. 이들에게 올림픽은 생계도 아니고 국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수단도 아니다. 4년 만에 찾아온 축제일 뿐이다.

스포츠는 우리 사회 전반을 비추는 거울이다. 과거 엘리트 스포츠 정책은 한국 스포츠의 경쟁력을 성장시킨 원동력이었다. 우리 선수들이 거둔 성적은 국가의 위상을 높이는 역할을 했다. 말 그대로 체력은 국력이었다. 하지만 엘리트 스포츠 정책은 그늘도 드리웠다. 성적 지상주의에 파묻혀 메달의 색깔에 집착했다. 선수들에게는 운동의 즐거움이나 개인적 성취 대신 국가를 대표한다는 의무와 책임만이 요구됐다. 학연, 지연, 파벌이 등장한 배경도 이와 유사하다. 운동하는 기계가 된 우리 선수들은 금메달을 따지 못하면 고개를 숙여야 했다.

언론도 성적 지상주의를 부추겼다. 파벌 논란이나 공정하지 못한 경쟁을 지적하면서도 시청률에만 집착했다. 평창 올림픽 경기의 중계권을 가진 3곳의 방송사에서는 같은 시각 판박이처럼 동일한 경기를 중계했다. 영화로 제작됐던 스키점프 경기는 어디에서도 볼 수 없었다. 메달 획득 가능성이 있는 경기 위주로 편성한 탓이다.

다행히 국민들 시각이 변화하고 있다. 공정한 경쟁이 이뤄지지 않는 현실에 반발하기도 했으며 올림픽을 준비하는 과정과 노력에도 많은 관심을 보였다. 쇼트트랙 김아랑 선수는 4위를 기록했는데도 금메달리스트 최민정 선수 못지않은 관심과 사랑을 받았다.

4년 동안 올림픽을 준비하면서 흘린 선수들의 땀은 세계 최고의 무대인 올림픽에 참가하는 자체로 보상받는 게 맞다. 이제는 운동하는 기계를 양산할 게 아니라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정책이 만들어져야 한다. 천재는 노력하는 사람을 이길 수 없고, 노력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 스포츠는 국력이 아니다. 복지다.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18-03-13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11. 7

야고 1장 3절
여러분도 알고 있듯이, 여러분의 믿음이 시험을 받으면 인내가 생겨납니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