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8. `사도로부터 이어 오는 교회`라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사도로부터 이어 오는 교회`라는 말은 교회가 사도들로부터 시작됐고 그들의 전통을 고수하고 있으며 그들의 후계자들에 의해 관리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가톨릭교회 교리서」 857-860항, 869항, 877항). 예수님은 사도들을 당신의 전권 대리인으로 삼아 온 세상에 파견하셨습니다. 사도들은 안수를 통해 자신들의 후계자인 주교들에게 자신들이 지녔던 사명과 전권을 전해 줬습니다. 우리는 이 과정을 사도 전승이라 부릅니다.
119. `하나이고 거룩하고 보편되며 사도로부터 이어 오는 교회`는 어떻게 구성돼 있나요?
▶교회에는 평신도와 성직자가 존재합니다. 그들은 하느님의 자녀로서 똑같은 품위를 지녔습니다. 그들의 품위는 똑같지만, 그들이 받은 사명은 서로 다릅니다. 평신도의 사명은 온 세상을 하느님 나라로 이끄는 데 있습니다. 성직자는 교회를 이끌고 가르치며 거룩하게 할 직무를 지녔습니다. 이는 그리스도가 그들에게 맡기신 것이므로 그들은 모든 이들의 종이 돼야 합니다. 평신도와 성직자 중에는 수도자들처럼 정결, 청빈, 순명을 통해 특별한 방식으로 하느님께 자신을 봉헌하는 신자들도 있습니다(871-876항, 934-935항).
120. 평신도의 소명은 무엇인가요?
▶평신도는 하느님 나라가 사람들 사이에서 자라날 수 있도록 사회 속에서 힘써야 할 소명을 지닙니다(897-913항, 940-943항). 평신도도 그리스도의 사제직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일반 사제직 또는 공통 사제직) 사제 아래 위치한다고 할 수 없습니다.
121. 교황의 직무는 무엇인가요?
▶베드로 사도의 후계자요 주교단의 수장으로서 교황은 교회의 일치를 보증합니다. 교황은 가장 큰 사목 권한을 행사하며 교리와 규율을 결정하는 데 가장 높은 권위를 지닙니다(880-882항, 936-937항). 예수님은 베드로 사도를 사도 가운데 가장 높은 자리에 앉히셨습니다. 베드로 사도가 이끌었으며 그가 순교한 장소이기도 한 로마 교회는 그가 죽은 후 초대 교회의 내적 기준점이 됐습니다.
122. 교황은 정말로 오류를 범할 수 없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교황은 오로지 장엄한 교회 의식을 통해 교의를 선포할 때만 무류성을 지닙니다. 공의회의 결정과 같이 주교단이 교황과 하나 돼 내리는 교도권적 결정도 무류성을 지닙니다(888-892항). 교황의 무류성은 그가 도덕적으로 결함이 없다거나 지적 능력이 완벽하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본래 오류를 범할 수 없는 존재는 교회입니다. 자명한 신앙 진리를 갑작스레 부정하거나 잘못 해석하는 경우 교회는 무엇이 진실하고 무엇이 그릇된 것인지를 구속력 있게 선언하는 최종 결정권을 가져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교황이 지닌 결정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