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일
교구/주교회의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가톨릭여성신학회 공개강연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한국 사회가 진보하고 삶의 질이 높아졌음에도 여성을 둘러싼 불평등과 폭력이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7월 20일 서울 명동 가톨릭회관에서 열린 가톨릭여성신학회 공개강연에서 김정은(아기예수의 데레사) 한국교회사연구소 선임연구원은 그 근본적인 원인을 “한국 사회에서 여성을 둘러싼 패러다임이 바뀌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날 강연은 가톨릭여성신학회(회장 최혜영 수녀)가 마리아 막달레나 축일 승격 3주년을 맞아 ‘여인아, 왜 우느냐 누구를 찾느냐(요한 20,15)’를 주제로 마련한 자리다. 학회는 3주년을 맞아 교회 내 여성의 지위와 역할을 살피고, 마리아 막달레나의 사도성을 돌아봤다. 또 강연 후에는 주한 교황대사 알프레드 슈에레브 대주교가 주례하는 감사미사를 봉헌했다.

이날 제1주제 발표를 맡은 김정은 연구원은 ‘규정되는 여성 패러다임과 그 해체에 관한 이야기’를 주제로 발표해 참석자들의 공감을 얻었다. 특히 김 연구원은 성적 수단, 왜곡된 성의식, 무상 노동·생산자 등 수단으로 규정되는 여성과 남성에 비해 제한적 역할로 규정되는 여성의 모습을 꼬집고 “교회 안에서 여성을 바라보는 모성과 동정이라는 이분법적 시선을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연구원은 이 시선의 전환을 위한 실천으로 ▲주교회의에 교황청 조직과 같은 가정과 생명, 여성을 다루는 위원회의 설립 ▲본당 사목회 여성 비율 30 보장 ▲본당 성체 분배자의 동등한 성 비율 등을 제안했다.

가톨릭여성신학회장 최혜영 수녀는 “마리아 막달레나 기념일이 축일로 승격된 것의 핵심은 ‘여성들의 사도성’에서 찾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 수녀는 “세상은 변하고 있는데 교회는 아직 복음서 속의 여러 마리아들을 구분하지도 않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 자리가 여성을 남성과 함께 제자로 받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선포의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훈 기자 joseph@catimes.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신문 2019-07-24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7. 1

집회 51장 1절
임금이신 주님, 당신께 감사를 드리고 저의 구세주 하느님이신 당신을 찬양하며 당신 이름에 감사를 드립니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