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7일
세계교회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국제카리타스 성명 발표, 코로나19로 인한 식량 부족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바티칸 CNS】 국제카리타스가 경제 불황과 제재, 식량 부족, 기금 감소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이후의 삶을 더욱 위험하고 치명적인 것으로 만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제카리타스는 5월 6일 성명을 통해 “불행하게도 코로나19의 여파는 가장 가난한 나라의 가장 취약한 계층에게는 바이러스 자체보다 더 복잡하고 더 치명적일 것”이라면서, 국제사회와 원조공여국에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라”고 촉구했다. 국제카리타스는 이러한 조치가 없으면 취약 계층 수백만 명이 영양실조나 기근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유엔 세계식량계획은 세계적으로 기근에 직면한 사람이 “코로나19 이후 두 배로 증가해 2300만 명에 이를 것”이라고 추산했다.

국제카리타스는 “아프리카가 가장 심각한 영향을 받아, 봉쇄로 인한 식량 부족과 홍수, 가뭄, 메뚜기떼 공격, 흉작 같은 다양한 재난을 경험할 것”이라면서 “중동 및 라틴아메리카, 아시아의 많은 국가는 이미 아동 영양실조 및 기근으로 이어지는 심각한 식량 위기를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국내외 이주민, 특히 불법 체류자들은 공적 부조조차 받을 수 없는 취약 계층이다. 이에 국제카리타스는 불법 체류자에게도 “기본 서비스, 특히 보건에 대한 접근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카리타스 알로이시오 존 사무총장은 “지금은 주요 원조공여국이 코로나19 피해가 가장 큰 이례적인 응급상황”이라면서 “하지만 국제원조를 국내 필요에 대한 응답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은 바른 해결책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장 취약한 계층을 예측하고 지원하는 과감한 조치를 시행한다면 또 다른 인도주의적 위기를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국제카리타스는 국제사회에 리비아와 이란, 베네수엘라, 시리아에 대한 경제 제재를 해제하여 의료품 등 기초 필수품을 수입하도록 허용할 것과 종교단체에 식량 보안과 인도주의적 지원 및 보건과 현금 지원 같은 우선적 필요에 응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것, 봉쇄 조치 동안 가장 취약한 계층의 생존을 보장할 추가적인 기금을 지원할 것 등을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기사원문보기]
가톨릭신문 2020-05-13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7. 7

시편 31장 17절
당신 얼굴을 당신 종 위에 비추시고 당신 자애로 저를 구하소서.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