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7일
사람과사회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평화칼럼]‘빨리빨리’의 두 얼굴

이창훈 알폰소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이창훈 알폰소




기자 생활을 하면서 평화방송 여행사의 해외 성지순례 인솔자로 잠깐씩 외도(?)한 적이 있었다. 그때 들은 이야기다. 유럽 사람들은 동양인들을 잘 구별하지 못한다. 하지만 관광버스 기사들은 그렇지 않다. 그들은 단체 여행객이나 순례객들이 오면 어느 나라인지 금세 구별해 낸다. 소란스럽다는 느낌이 들면 중국인이라고 한다. 반대로 말없이 조용조용히 따라가는 관광객들은 일본인이다. 화려한 복장의 여행객들 모습이 보이면 한국인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 구별법대로 해보면 십중팔구는 들어맞는다.

‘빨리빨리’는 한국인들의 또 다른 특징을 여실히 보여주는 ‘문화’다. 관광버스 기사들 사이에서는 이런 얘기가 있다. 기사들이 함께 식사하면서 자기 버스의 손님들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었다. 그런데 한 기사가 아무 말 없이 먹기만 했다. 동료 기사들이 왜 그렇게 말도 없이 먹기만 하느냐고 묻자 그 기사가 하는 말. “나는 빨리빨리 먹고 일어나야 해. 우리 손님들이 한국 사람들이거든.”

화려함과 빨리빨리. 그 자체로는 나쁠 것도, 좋을 것도 없는 표현들이다. 그러나 이 표현들이 구체적인 상황과 결부될 때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뉘앙스를 풍긴다. 예를 들어 보통 사흘 걸리는 일을 빨리빨리 해서 이틀 만에 해냈다면, 빨리빨리는 ‘부지런함’ 혹은 ‘능력이 뛰어남’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긍정적이다. 그러나 빨리빨리 해서 이틀 만에 해치웠다면, 빨리빨리는 ‘부실’ 또는 ‘대충’과 연상될 수 있다. 이때 의미는 물론 부정적이다.

문제는 우리의 현실과 관련지어 볼 때 화려함과 빨리빨리에 대한 긍정적 측면보다 부정적 측면을 더 많이 느끼게 된다는 데 있다. 개인 소견이지만 우리에게 화려함은 아름다움이 아니라 자기 과시와 허영, 겉치레 등과 더 어울리는 듯하다. 또 빨리빨리는 ‘대충대충’ 혹은 ‘성과 제일주의’와 연관된다. 그렇다면 화려함과 빨리빨리 문화 속에는 순리가 아니라 욕심이 들어 있다. 의욕을 지니는 것은 좋지만 의욕이 지나쳐 과욕으로 변질된다면, 문제가 심각해진다.

약 반세기 전 우리의 일 인당 국민소득은 필리핀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100달러에 불과했다. 지금 우리는 국민소득 2만 7000달러에 세계 10위권에 버금가는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다. ‘빨리빨리’가 이룬 ‘한강의 기적’이다. 세계가 부러워하는 화려한 성장이다. 그런데 빨리빨리에 집착하다 보니, 내실이야 어떻든 가시적 성과만 거두면 그만이라는 일탈(逸脫)이 생겨난 것은 아닌지. 지난 반세기의 삶을 돌아볼 때 지금 우리 사회는 화려함과 빨리빨리의 그릇된 후유증, 과욕으로 변질된 후유증을 앓고 있는 것은 아닌지.

눈에 보이는 성과에 집착할 때 그릇된 경쟁과 차별 의식을 갖게 된다. 상대방보다 나아야 하고, 전임자보다 나아야 한다. 차별해야 하니 전임자가 닦아 놓은 좋은 정책도 내게는 소용이 없다. 나를 부각하려니 오히려 흠집을 내야 한다. 내 임기 동안에 성과를 거두어야 하니 또 빨리빨리 서둘러야 한다. 그러고는 성과를 냈다고 보란 듯이 과시한다. 그 외양이 화려해 보일지 모르지만 속 빈 강정이 되기에 십상이다.

물론 이것이 우리 사회의 전부는 아니다. 그러나 엄존하는 현실이다. 이 현실이 우려되는 것은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기 때문이다.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지혜가 필요하다. 정부가 그렇고, 사회가 그렇다. 교회도 마찬가지다.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16-10-19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4. 27

마태 6장 4절
네 자선을 숨겨 두어라. 그러면 숨은 일도 보시는 네 아버지께서 너에게 갚아 주실 것이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