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5일
사람과사회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사설] 죽음으로써 얻는 참 생명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11월 위령성월은 특별히 죽은 이들을 기억하고, 그들을 위해 기도하며, 언젠가 우리에게도 닥쳐올 죽음을 묵상하는 시기다. 전례력으로도 그리스도왕대축일을 앞둔 연중 마지막 시기로 신앙인으로서의 삶과 죽음을 되돌아보게 하는 뜻깊은 때이다.

세상 사람들에게 현세에서의 죽음은 암흑이요 좌절이며 허무이다. 그러나 신앙인들에게 죽음은 지상순례의 끝이며, 영원한 생명 곧 하느님 나라에 드는 관문이다. ‘죽음이 곧 생명’이라는 종말론적이면서도 역설적인 교리는 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 진리다.

교회는 ‘모든 성인의 통공’ 교리를 통해 죽은 이와 산 이의 소통(통교)을 고백하며 위령성월에 특별히 연옥의 영혼들을 위해 기도할 것을 권장한다. ‘통공(通功)’은 말뜻 그대로 죽은 이와 산 이가 서로를 위해 들인 정성과 기도는 하느님의 자비하심으로 효력을 발한다는 의미다.

‘죽음을 통한 생명’의 전형을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일생에서 확인한다. 완전한 신이며 구원자이신 그리스도 예수는 육화를 통해 온전한 인간이 되셨다. 그러나 ‘인간됨(강생)’의 신비는 십자가상 죽음에서 최종적으로 실현됐다. “주여, 어찌하여 저를 버리시나이까” 라는 울부짖음은 예수 그리스도가 우리와 똑같은 인성을 취하신 참 인간이었음을 알려준다.

죽음으로써 인간성을 완성하신 예수는 부활하심으로써 전혀 다른 차원의 생명을 주셨다. 그 생명은 ‘영원히 목마르지 않은 생명수’와도 같다. 이것이 ‘구원’이며 참 생명이다.

교회는 종말론적인 생명을 강조하면서도 현세 삶의 의미와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는다. 죽음은 한 순간에 무의미하게 닥치지 않는다. 시 공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죽음은 현세에서의 삶이라는 과정을 거쳐 맞딱드리는 현실이다.

따라서 죽음은 현세 삶의 종말이며 끝이다. 현세 삶이 없다면 죽음도 없다. 20세기 최고의 신학자로 불리는 칼 라너의 말처럼 “영원한 생명으로 나아가는 죽음은 얼마나 복된가. 그러나 그러한 죽음을 있게 한 이승의 삶은 또한 얼마나 고귀한가”.

“오늘은 나에게, 내일은 너에게”(Hodie mihi cras tibi)라는 격언은 죽은 이들이 산 이에게 하는 말이다. 죽음은 누구도 예외가 없다. 이 세상 어떠한 가치도, 즐거움도, 희망도 죽음 앞에서는 빛을 잃는다.

그러나 죽음을 넘어서는, 죽음으로써 얻게 되는 참 생명을 믿기에 우리는 희망하며 오늘을 살 위로와 힘을 얻는다.



[기사원문보기]
가톨릭신문  2007-11-04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5. 5

시편 81장 17절
나는 내 백성에게 기름진 참밀을 먹게 하고, 바위의 꿀로 그들을 배부르게 하리라.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