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9일
사람과사회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특별기고] 생명복제기술 과연 우리의 구원인가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열기가 식기도 전에 새롭고 기발한 연구발표로 연이어 세계의 이목을 끌고 국민 영웅으로서 자리를 굳히고 있는 황우석 서울대 교수의 열의에 우선 경이를 보낸다.

 우리나라에서는 연구 결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 보통 세계 최초의 성공 사례라든가 상당히 힘든 연구였다든가 하는 것이 먼저 거론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그 연구가 갖는 목적이 무엇이며 연구 결과가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그런데 얼마 전 황우석 교수팀의 개 복제는 도대체 의미있는 목적이 있었는지 의심스럽다.

 인간의 난치병 치료 연구와 신약 개발 및 세포치료제 개발 응용 등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멸종 위기 동물을 복원할 수 있다고 하나 난치병 치료와 신약 개발에 구체적으로 어떤 도움이 될 것인지 언급이 없다.

 또 멸종 위기 동물 복원보다는 멸종 위기를 맞게 된 근본원인에 대해 생각해 봐야 한다. 이를테면 어떤 동물이 멸종 위기에 있는데 그것이 생태계 변화나 파괴에서 비롯된 것이고 그 원인이 인간이라면 생태계 파괴를 그만둠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 단지 동물만 복원해 놓는다고 복원된 동물이 부적합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겠는가? 또 멸종 원인이 다른 이유 즉 진화 과정이나 적자생존의 자연법칙에 낙오한 때문이라면 자연을 거슬러 굳이 멸종 동물을 복원할 필요가 있는지 또 인간에게 그런 의무나 책임이 있는지 의문이다.

 이식용 장기 공급원으로 사용하려는 목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무균 미니돼지 복제도 지극히 위험한 이종감염과 면역거부반응 등 상당한 문제를 안고 있으므로 서구에서는 연구를 사실상 포기한 실정이다. 조류독감에서처럼 감염 환자와 접촉한 모든 사람을 격리해야 하는 사태까지 염두에 둬야 한다고 한다.
 더구나 동물 복제기술 중 제일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는 개 복제는 인간 복제 기술에 응용될 것이고 인간 복제에 대한 유혹과 관심을 증폭시킬 것이다.

 인간배아복제의 경우는 어떠한가? 제대로 모태에 착상돼 생명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인간 생명체가 될 수 있는 배아를 희생시키고 사회적 취약계층에 속하는 여성들을 수단으로 삼아 감행하는 연구가 과연 도덕적 정당성이 있겠는가?

 만에 하나 순수한 자율적 난자기증을 하는 여성이 있다면 그러한 여성은 자신이 정당성이 없는 연구에 도움을 주고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이것은 개인에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이며 더 나아가 인류사에 관한 문제이므로 신중해야 한다.

 훗날 인간 복제가 실제로 성행하게 되고 그 결과 인간 존엄성이 극심하게 훼손되고 생명 경시 현상이 팽배해진 후 배아연구자나 난자기증자가 자신은 단지 난치병 치료기술 개발을 위해 일한 것뿐이며 개발한 기술을 응용해 실제로 인간 복제를 하는 사람들이 잘못이라고 한다면 얼마나 무책임한 일인가.

 과학과 사회는 상호 영향을 미친다. 과학은 사회를 변화시키며 사회는 그 사 회가 필요로 하는 것을 과학에서 요구한다. 만일 한 사회가 원하는 과학이 대량살상무기의 생산과 같이 위험한 것이라면 그 사회는 위험한 상태라는 적신호일 것이다. 지금 우리나라의 몇몇 과학자 중심으로 이뤄지는 생명조작 문제는 기대만큼 밝은 미래를 약속하는 것은 아니므로 양식있는 사람들은 우려를 금치 못하고 있다.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05-09-04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4. 29

에페 4장 32절
서로 너그럽고 자비롭게 대하고, 하느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여러분을 용서하신 것처럼 여러분도 서로 용서하십시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