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9일
생명/생활/문화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묵주기도 관상」 펴낸 살레시오회 김보록 신부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마리아에게서 잉태해 하느님 나라를 선포하고, 우리를 위해 피땀 흘리시다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신 예수. 이후 부활해 마리아께 천상 모후의 관을 씌우기까지. 환희, 빛, 고통, 영광 네 개의 신비로 이어지는 묵주기도는 예수의 전 생애를 묵상할 수 있는 기도다.

성모성월을 맞아 묵주기도와 함께 성모님께 특별한 전구와 은총을 청하는 신자들에게 김보록 신부(살레시오회)는 “진실로 기도다운 기도로 묵주기도를 바치기 위해서는 각 단의 신비를 묵상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관상에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한다. 그리고 묵주기도의 참맛을 알 수 있는 방법을 「묵주기도 관상」 안에 담았다.

김 신부는 묵주기도를 “영성 생활을 마무리할 수 있는 훌륭한 신심기도”라고 설명했다. 예수의 전 생애에 걸친 속량의 신비를 망라하고 있는 묵주기도를 통해 신비를 관상하는 것은 영성 생활을 심화하고 마무리하기에 알맞기 때문이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는 점도 묵주기도의 장점이다. 김 신부는 “일이 바쁘다보면 일상에서 신앙을 잊기 마련인데 묵주기도는 어디서든 바칠 수 있기 때문에 하루 종일 예수님과 일치해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고 말했다.

예수 그리스도와 긴밀하게 소통하고 일치할 수 있도록 돕는 묵주기도, 어떻게 바쳐야 할까. 김 신부는 묵상에서 관상으로 나아갈 것을 강조했다.

“묵주기도의 묵상은 주님의 기도와 성모송을 되풀이하면서 각 단 신비의 장면을 상상해 바라보고 자신이 그 장면 안으로 들어가 신비의 내용에 대해서 예수님과 성모님과 자유로이 대화를 나누는 것입니다. 그 신비를 자신에게 적응시키고 성찰하며 예수님과 성모님께 자신의 심정을 표현하고 소감을 말씀드리는 것도 좋겠죠.”

묵상에서 관상으로 나아가는 것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는 게 김 신부의 설명이다. 고요하고 안정된 가운데 오로지 하느님만을 바라보는 상황. 김 신부는 관상에 이를 수 있는 방법을 스무 가지 이야기로 엮어 책에 담았다. 김 신부는 “묵상이 깊어지고 관상이 순수하게 되면서 성모송을 띄엄띄엄 외우게 되고 어떤 문구나 단어만 외운 후 그것도 끊어지며 전혀 외우지 않게 될 수도 있다”며 “기도문을 외우는 것은 묵상과 관상을 하기 위한 수단이며 최종적으로 추구해야 할 기도의 목적은 주님과의 일치”라고 설명했다.

묵주기도의 묵상과 관상을 마쳤다면 각 신비의 내용을 기억하고 이를 삶 속에서 실천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김 신부는 덧붙였다.

“환희의 신비는 ‘마리아께서 예수님을 잉태하심을 묵상합시다’로 시작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성모님의 잉태 영성을 기억할 수 있지요. 성모님은 품안에 예수님을 잉태하신 순간부터 언제 어디서나 예수님에게 집중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우리는 성모님처럼 살고 있을까요. 성모성월을 보내며 그리스도인들은 우리 마음에 잉태하신 예수님을 생각하고 그분이 가르쳐주신 사랑을 실천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민경화 기자 mkh@catimes.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신문 2020-04-28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4. 19

시편 103장 17절
주님의 자애는 영원에서 영원까지 당신을 경외하는 이들 위에 머무르고 그분의 의로움은 대대에 이르리라.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