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5일
교구/주교회의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기획] 사회교리주간 제정 3년 … 성과와 과제

“새 복음화 노력이 곧 사회교리 실천”
교리 교육 열기는 높지만 확산은 느린 실정
교리 확산 위한 교육공간·강사 부족도 ‘숙제’
교회의 지속적이고 꾸준한 투자·인력 절실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와 서울대교구 정의평화위원회가 2012년 12월 9일 서울 명동 가톨릭회관 1층 강당에서 개최한 사회교리주간 세미나 모습.
 

신자들이 사회교리에 관심을 갖고 세상에 복음을 선포할 수 있도록 독려하기 위해 제정한 사회교리주간을 맞아 사회교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한국교회 신자들의 신앙생활이 급격히 개인주의적으로 흐르고 있어 교회와 세상은 별개라는 인식을 극복할 수 있는 꾸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교회가 지난 2011년 인권주일로 시작하는 대림 제2주간을 사회교리주간으로 제정한 이후 교구마다 사회교리를 배우려는 열기가 높아져가고는 있지만 확산 속도가 매우 더딘 실정이다. 실제 서울대교구가 지난 1995년 처음으로 사회교리학교를 개설한지 20년이 가까워오고 있지만 ‘사회교리’라는 용어조차 낯설어하는 신자들이 많은 게 현실이다.

서울대교구 정의평화위원장 박동호 신부는 “성경을 주관적·개인적으로 받아들이는 성경의 사유화(私有化)가 신앙생활의 개인주의화, 교회와 세상의 분리, 여가활동으로서의 신앙 등의 문제를 불러 교회에서 정서적·심리적 만족만을 추구하게 만들었다”면서 “이런 풍토 속에서 정서적·심리적 불편을 주는 주제, 즉 사회교리를 피하게 되고 교리의 일반적·추상적인 면을 중심으로 가르치게 돼 교회와 세상의 거리가 멀어지게 됐다”고 진단했다.

박 신부는 또 “교회가 제2차 바티칸공의회를 통해 공동선을 다루고 정치공동체 생활, 평화와 국제 공동체 등에 대한 가르침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 사실을 아는 신자는 많지 않다”며 “사회교리는 교회 시작부터 존재했으며 내적 쇄신과 외적 복음선포 사명의 핵심임에도 교회는 일반적 가르침만 전하고 사회교리를 알리는데 소홀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한국가톨릭문화연구원 박문수(프란치스코) 부원장은 “신자들이 교회의 사회문제 개입에 불편해하는 이유로 소수화에 대한 두려움, 자선으로의 도피, 성속이원론의 연장에 있는 영성운동 등을 꼽을 수 있다”며 사회교리 기피를 조장하는 현실에 교회의 책임이 있음을 지적했다.

사회교리주간 제정을 전후해 의정부교구(2011년 8월), 부산교구(2012년 4월), 대구대교구(2012년 10월) 등이 사회교리학교를 개설한 바 있다. 또 각 교구와 본당별로 교육자료를 배포하고, 미사, 토론회, 강연회 등을 마련하는가 하면 청년들을 위한 교리서에도 사회교리 교육이 강화되는 등 전례없는 노력을 기울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 비해 상시적으로 사회교리를 확산시켜나갈 수 있는 교육공간의 부족과 사회교리 강사 부족 등의 문제가 과제로 떠오른지 오래다.

박동호 신부는 “우리 시대가 던져주는 도전에 대응하며 새로운 방식으로 복음을 전해야 할 교회의 ‘새 복음화’ 노력이 바로 사회 교리 실천”이라며 “사회교리에 대한 신자들 인식을 강화하고 사회적 가르침을 올바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투자와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서상덕 기자 (sang@catimes.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신문  2013-12-01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5. 5

시편 145장 15절
주님, 모든 눈이 주님께 바라고, 주님께서는 백성들에게 먹을 것을 제때에 주시나이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