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일
기획특집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대도시 신자들에 최적화된 소공동체로 개선해 나가야

서울대교구 소공동체 25주년 기념 설문조사 보고서 「‘새로운 복음화’를 위한 소공동체 평가와 전망」 - 해설(하)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서울대교구 소공동체 25주년 기념 기초 자료 수집 설문조사 보고서 「‘새로운 복음화’를 위한 소공동체 평가와 전망」(이하 보고서)에 의하면, 소공동체 임원으로 봉사하고 있거나 임원 경험을 가진 이들은 임원 경험이 없는 이들보다 복음화 지수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번 호에서는 임원 경험 여부에 따른 신앙실태와 함께 소공동체 참여 형태에 따른 본당 그룹별 신앙생활 실태를 살펴본다. 도입 25주년을 맞은 소공동체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제언도 싣는다.

이힘 기자 lensman@cpbc.co.kr





소공동체 임원 여부에 따른 신앙실태

소공동체 임원 경험 여부에 따라서도 복음화 정도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구역장ㆍ구역장ㆍ반장ㆍ말씀지기 등 소공동체 임원이거나 임원으로 봉사한 경험이 있는 이들은 소공동체에 참여시 임원 경험이 없는 신자들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인다.

‘복음선포’ 항목의 ‘나는 하느님께서 성경을 통해 나에게 말씀하고 계심을 믿는다’는 질문에서 임원 경험자는 88.0점으로, 임원 경험이 없는 신자(85.3점)에 비해 2.7점 높았다. ‘전례주년(대림ㆍ성탄ㆍ연중ㆍ사순ㆍ부활)의 의미’에 대한 이해도에서는 유경험자가 80.5점, 무경험자는 75.3점으로 5.2점 차이가 났다. ‘미사의 은총으로 살아갈 힘을 얻는가’하는 질문에서는 유경험자가 84.5점, 무경험자가 81.8점으로 2.7점 높았다.

‘친교와 봉사’ 항목에서도 차이는 두드러진다. ‘본당 공동체 안에 어려운 일이 있을 때 함께한다’는 질문에서는 소공동체 임원 유경험자가 75.5점을 기록했지만, 무경험자는 68.8점에 그쳐 6.7점 차이를 보였다. ‘본당 공동체의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질문에는 소공동체 임원 유경험자가 82.5점이지만, 무경험자는 76.8점으로 5.7점 낮았다. ‘교회 공동체(교구ㆍ본당)의 사목 목표와 방향을 아는가’는 질문에서는 유경험자가 72.0점, 무경험자는 4.2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가난한 이들에 대한 관심’을 묻는 항목에선 각각 87.0점과 86.0점 1.0점, ‘타 종교에 대한 이해도’에서는 0.7점, 우리 사회의 각종 불평등에 대한 관심도에서는 0.5점으로 상대적으로 차이가 적 었다. ‘복음선포’와 ‘전례’ 항목에 비해 ‘친교’와 ‘봉사’ 항목의 질문에서 점수 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앞으로 소공동체 참여자들이 봉사와 친교에 좀 더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현재 ‘성경 말씀과 나눔 중심’으로 진행하는 소공동체 모임이 도입 당시와는 크게 달라진 시대적 상황에 발맞춰 보완돼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소공동체 참여 본당 그룹별 신앙생활 실태

조사 대상 9개 본당을 세 그룹으로 나눠 살펴본 결과, 매주 모임을 하는 소공동체 ‘집중 본당’(4곳)의 소공동체 참여 신자들이 전체 60개 문항으로 이뤄진 질문 가운데 33개 질문에서 최고점을 획득했다. 매주에서 매월로 소공동체를 전환한 ‘정체기 본당’(2곳)은 17개 문항, 매월 모임을 하는 ‘일반 본당’(3곳)은 16개 문항에서 최고점을 받는데 그쳤다.

‘죽음 이후에 부활하여 영원히 살 것을 믿는다’는 질문에 소공동체 집중 본당 신자들은 83.0점, 일반 본당 신자들은 82.3점, 정체기 본당 신자들은 81.5점을 기록했다. 특히 미사 참여 이외에 성경을 얼마나 자주 읽느냐는 질문에서는 집중 본당 신자들이 62.4점으로, 정체기 본당(58.6점)과 일반 본당(52.2점)을 크게 앞선 것으로 집계됐다. 결론적으로 소공동체에 집중하는 본당일수록 신자들의 복음화 지표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체 응답자 8764명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45.1가 소공동체 이외의 사도직 단체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레지오 마리애(17.0)가 가장 많았고, 성경공부(10.1)ㆍ성가대(5.3)ㆍ전례단(4.4)ㆍ성소후원회(4.1)ㆍ군종후원회(3.8) 순이었다.

소공동체와 사도직 단체 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복음화 지표를 비교한 결과, 소공동체와 사도직 단체에 모두 참여하는 신자들이 그렇지 않은 신자들에 비해 거의 대부분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이는 소공동체와 사도직 단체가 복음화 실천을 위한 도구로써 협력해야 할 동반자 관계라는 것을 의미한다.



▨(인터뷰)서울대교구 사목국장 조성풍 신부



“소공동체의 정신은 복음을 중심으로 ‘복음을 전하는 삶을 사는 것’입니다. 도입 25주년을 맞은 소공동체가 서울이라는 대도시에 사는 그리스도인들에게 복음을 잘 살도록 돕기 위해서는 앞으로 연구와 보완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사목 방향 설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

보고서의 기획 연구 책임자인 서울대교구 사목국장 조성풍 신부는 “본당이 복음화의 도구로서 역할에 충실하려면 소공동체들과 사도직 단체들로 이뤄진 ‘공동체들의 공동체’로 자리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 신부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서울대교구의 앞으로 사목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실천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서울대교구는 세상의 세속주의와 물질주의, 개인주의 등의 영향으로 공동화돼 가는 교회 현실을 성찰하고 이를 극복하고자 1992년 소공동체 모델을 도입, 운영해왔다. 이번 보고서는 1995년 첫 보고서 발표 이후 다섯 번째다. 소공동체 참여 신자들과 참여하지 않는 신자들의 복음화 지표를 직접 비교 분석한 보고서는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대교구 사목국은 이 보고서를 통해 소공동체뿐만 아니라 전체 응답자들의 신앙실태도 파악했다. 서울대교구 신자들은 점차 고령화하고 있고, 직장인과 은퇴자들의 비율이 증가하는 반면, 청년 이하 세대는 감소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높은 비율의 고학력자와 성인 영세자를 교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이끄는 것이 과제로 남았다.



교육 프로그램 연구에 힘쓸 것

조 신부는 “반ㆍ구역장 등 소공동체 봉사자들의 복음화 지수가 높게 나타난 것은 이들이 그렇지 않은 신자들에 비해 교육의 기회가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며 “사목국은 모든 신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에 힘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힘 기자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17-09-06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7. 1

시편 85장 13절
주님께서도 복을 베푸시어, 우리 땅이 그 열매를 내어 주리라.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