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30일
기획특집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창간 84주년 특집] 한국교회 선교의 뿌리를 찾아서 Ⅲ - 평신도 활동을 통해 본 선교

죽음 무릅쓰고 신앙생활·선교·성직자 영입 노력, 친교 안에서 직무·봉사·교육에 게으르지 않아, 정하상은 신학생 선발·성직자 보좌에도 참여, 역관 출신 유진길은 교황에게 보낼 서한 작성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1831년 조선대목구 설정 이후의 한국교회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자. 역사는 조선대목구 설정 이후 ‘평신도’와 ‘선교사’의 접점에 가장 먼저 정하상 바오로와 브뤼기에르 주교를 만나게 하고 있다. 정하상 바오로를 비롯한 평신도들의 노력을 통해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이자 조선 초대교구장 브뤼기에르 주교가 파견됐으니 말이다. 브뤼기에르 주교의 안타까운 선종으로 그들의 만남은 직접 이뤄질 수는 없었으나, 평신도들의 눈물겨운 바람은 선교의 씨앗을 마침내 조선 땅에 떨어뜨리게 했다.

‘한국교회 선교의 뿌리를 찾아서- 평신도’편은 조선대목구 설정 이후, 각 수도회의 선교사들이 우리나라에 복음을 전파하게 하도록 도움을 준 평신도들을 발굴하고, 행적의 의미와 그들이 오늘날 우리들에게 던지는 메시지를 살펴본다. 평신도의 보이지 않는 노력 위에 한국교회 선교의 역사가 견고히 뿌리를 내렸기 때문이다.



▧ 한국의 평신도

“우리의 선인들은 기막힌 천재들이었다. 그렇기에 그들은 ‘호랑이는 죽어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 이름을 남긴다’는 속담을 만들 수 있었다. 이 평범한 속담을 통해 사람에게는 역사적 생명이 소중하고, 이 생명을 키우기 위해 살아있을 때 노력해야 함을 우리의 선인들은 역설하고 있다. 그런데 이름을 남기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을 하지 않은 이라 하더라도 아름다운 마음이나 의연한 행동 때문에 역사적 생명을 부여받고 있는 이들도 있다. 그리고 자신의 굳은 신앙심과 죽음을 무릅쓴 신앙의 실천으로 인해 믿는 이들의 마음에서 계속하여 기억되고 존경받는 이들도 있다.”

고려대학교 조광 교수(한국사학과)는 1994년 한국가톨릭문화신앙회에서 펴낸 「항아리」에서 우리의 신앙 선조들을 가리켜 이렇게 묘사했다. 굳은 신앙심과 죽음을 무릅쓴 신앙의 실천, 대부분 평신도로 구성된 신앙 선조들의 노력은 한국 땅에 ‘선교의 시대’를 열게 했다.

평신도들은 성직자가 없는 조선땅의 한계를 깨닫고, 성직자 영입운동을 벌였으며 이 가운데 정하상은 한국교회에 성직자를 영입하는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된다.

평신도들은 성직자가 영입된 후에도 목숨을 걸고 신앙을 증거했으며, 한국교회의 ‘초석’을 놓는데 큰 힘을 보탰다.

또한 한국에 진출한 수도회의 선교사들을 도와 계속해서 한국교회의 성장에 이바지했으며, ‘평신도 그리스도인’의 모상을 그대로 실천하는 모습을 보였다.

▧ 성직자 영입으로 본 평신도의 열정

우리나라 평신도의 대표격인 정하상은 1816년 겨울 만 21세의 나이로 처음 북경으로 떠났다. 그가 북경으로 떠난 것은 북경 천주당을 찾아 조선의 소식을 전하고, 성직자를 영입하기 위해 노력하기 위함이었다.

성직자 영입운동은 정하상만이 전개한 노력은 아니다. 조선 내 많은 신자들이 정하상과 함께했고, 성직자를 영입하기 위해 힘을 보탰다. 당시 정하상을 도와주던 신자들 중에는 동정부부로 유명한 조숙 베드로와 권 데레사도 있었다.

그들은 정하상을 자신의 집에 거처하도록 했고, 북경에 가는데 필요한 모든 준비를 도맡아했다. 그들은 1819년 순교했는데, 정하상이 북경에서 돌아오기만을 기다리던 중 포졸들에게 잡혀 죽음을 맞이한 것이다.
 

 
▲ 정하상은 1816년 이후 조선교회 재건과 성직자 영입을 위하여 무려 9차례나 북경을 왕래하였다.(탁희성 작)

1824년 나이 29세 때 정하상은 북경 왕래에 훌륭한 동행자를 만난다. 역관 출신 유진길 아우구스티노는 정하상과 함께 북경 선교사들을 만나고 귀국한 뒤 교황에게 올리는 서한을 작성했다. 이것이 ‘1811년에 이어 두 번째로 교황에게 올린 서한’이다. 서한에는 조선교회의 비참한 상황은 물론 이러한 고통을 겪고 있는 신자들의 영신적 구원을 위해 성직자를 파견해 주도록 요청하는 내용이 들어있었다.
 

 
▲ 역관 출신인 유진길은 그의 신분을 이용하여 북경교회와 연락하며 정하상을 도왔고, 함께 교황에게 올리는 서한을 작성하기도 했다.
 

당시 북경에 있던 총대리 리베이로 신부는 선교사를 조선에 들여보내기 위해 1826년 조선 신자들과 접촉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 해에 정하상과 유진길은



가톨릭신문  2011-04-03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4. 30

로마 13장 10절
사랑은 이웃에게 악을 저지르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사랑은 율법의 완성입니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