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6일
기획특집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열린 세상 오늘, 김성덕입니다] ‘국민 안심 밥상’ 책임집니다… 농약·중금속 걱정 마세요

남태헌(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원장)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남태헌(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원장)



건강에 대한 관심만큼이나 바른 먹거리에 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남태헌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원장에게 농산물이 식탁에 오르기까지 어떻게 안전을 책임지는지 들어봤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어떤 곳인가.
 

농림축산식품부 소속 기관으로 농식품 먹거리 안전과 직불제 등 농업인 소득 안정 정책을 관리하는 기관이다. 농산물 품질 검사와 안정성 관리, 친환경 농산물 인증 관리 등을 담당한다. 또 수입 농식품의 원산지를 관리하고 부정 유통을 차단해 소비자가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관리원에서 시행하는 농업경영체 등록 사업은 무엇인가.
 

2008년 시작한 사업으로, 농업인과 농업법인의 다양한 농업경영 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제도다. 인적 정보, 농지, 제외 농작물, 사육 축종 등의 정보가 해당된다. 지난해 말 현재 163만 경영체 등록 정보를 데이터로 구축해 관리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농림사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정책자금 집행의 투명성을 높일 방침이다. 또 농업인별 맞춤형 농정 추진을 위한 기초 자료로도 활용할 예정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농산물에 농약이나 중금속이 들어갔는지 신경 쓰게 된다. 어떻게 차단하고 있나.
 

생산 단계 특히 출하 10일 전부터 잔류 농약, 중금속, 병원성 미생물 등 유해 물질을 사전 분석한다. 그 결과 잔류 허용기준을 초과하면 해당 농산물과 농업 필지를 폐기하거나 용도 전환해서 시중 유통을 원천 차단하고 있다. 그런 부적합한 농산물을 생산한 농업인에게는 앞으로 비슷한 실수를 하지 않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원산지를 속이는 문제도 비일비재하다. 예방책이 있나.
 

단속 기간에만 원산지를 제대로 표시해서 단속을 피해간다는 비판이 있어 이를 차단하기 위해 제도를 개선하는 중이다. 올해부터 부정 유통에 대한 처벌이 상당히 강화된다. 2년간 2회 이상 거짓으로 원산지를 표기하면 위반 금액의 5배까지 과징금을 부과하는 아주 강한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또 위반 사례가 나오지 않도록 교육도 강화할 예정이다.
 

 

▶유기농과 무농약 등 친환경 농업 성장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나.
 

친환경 생산에 대한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무엇보다 부실인증을 방지해야 한다. 신뢰가 기반이 돼야 하기에 인증을 맡은 67개 민관기관이 제대로 처리할 수 있도록 심사위원들에게 다양하게 교육하고 업무량을 조절해 주고 있다. 특히 병충해 취약 시기에 농약을 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그 시기에 잔류 농약 검사를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국민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4차 산업혁명, 부정청탁금지법 등 대내외적 농업 환경 변호에 대응해 안전한 농식품을 생산ㆍ공급하고자 한다. 또 농업인의 소득 안정 지원을 통해 농업이 미래 성장 산업으로 도약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 현장의 중추기관으로서 농업인과 소비자들의 쌍방향 소통을 확대하고, 생산자에게 인정받고 소비자에게 신뢰 주는 농식품관리기관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힘쓰겠다.


정리=백슬기 기자 jdarc@cpbc.co.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17-05-17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7. 6

미카 4장 4절
사람마다 아무런 위협도 받지 않고 제 포도나무와 무화과나무 아래에 앉아 지내리라.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