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30일
생명/생활/문화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인간과 신이 만나는 공간, 불광동·양덕동성당과 경동교회를 짓다

[백형찬의 가톨릭 예술가 이야기] (34)김수근 바오로(하)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김수근이 설계한 3대 종교 건축물로 서울 불광동성당과 마산 양덕동성당, 경동교회가 있다. 출처=김수근문화재단 홈페이지

 

 


활발한 건축 활동

김수근(바오로, 金壽根, 1931-1986)이 아끼던 것 중에 하나가 공간 사옥 담장에 있는 덩굴이었다. 어느 날 김수근은 담쟁이덩굴이 죽어가는 것을 보았다. 김수근은 관리자를 불러 크게 야단쳤다. 마침 그곳에서 근무하던 젊은 건축가가 그 모습을 보았다. 담쟁이 하나 때문에 사람이 저렇게 야단맞고 무시당하는 것을 보고 분노가 끓어올랐다.

며칠 후, 그 건축가는 술에 취해 사옥 입구에 있는 담쟁이덩굴을 꽤 많이 뜯어냈다. 다음 날 ‘공간’ 사람들은 흉한 모습을 한 사옥 입구 풍경을 보고 김수근이 그 건축가에게 혹독한 조치를 할 것으로 생각했다. 그 건축가도 자신이 한 행동에 책임을 질 각오를 하고 있었다. 김수근은 이 일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그 건축가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또한 이런 일도 있었다. ‘공간’에서 직원 전체 회의가 열렸다. 사무실 사정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었다. 월급도 밀렸고, 직책은 자꾸 늘어만 간다. 회의 분위기는 경직되었다. 김수근은 회의 마무리에 “‘공간’에 들어오려는 사람은 줄 서 있으니 나갈 사람은 언제든지 나가라”고 했다. 이에 대해 그 누구도 말을 하지 못했다. 그때 한 젊은 건축가가 입을 열었다. “밤새워 일하는 우리에게 그게 무슨 말씀입니까. 사기를 알고 하시는 말입니까?” 이에 대해 김수근은 “여기가 군대냐? 사기는 무슨 사기냐?” 그 건축가가 그 말을 맞받았다. “군대보다 더하지요.”

우리나라가 올림픽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 김수근은 올림픽 경기장 설계를 맡았다. 가장 흥미로운 경기장은 체조 경기장이었다. 하늘에 커다란 천막을 펼쳐 놓은 것 같은 독특한 구조였다. 더구나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해 낮이나 밤이나 경기장은 환하게 빛났다. 김수근은 올림픽 경기장 건축으로 대한민국에도 건축가가 있다는 것을 세계에 알렸다.

김수근은 건축방식에 변화를 주기 시작했다. 건축재료를 콘크리트에서 벽돌로 바꾼 것이다. 벽돌은 따스하고 포근한 느낌과 함께 강인함을 주었다. 김수근은 그런 특성을 지닌 벽돌을 좋아했다. ‘건축은 빛과 벽돌이 짓는 시(詩)’라고 할 정도로 벽돌을 예찬했다. 그래서 탄생한 건축물이 불광동성당, 양덕동성당, 경동교회, 아르코 미술관, 아르코 예술극장, 샘터 사옥이었다.


 

 

 

서울대교구 불광동성당

 


서울대교구 불광동성당

김수근이 설계한 3대 종교 건축물은 불광동성당, 양덕동성당, 경동교회이다. 종교 건축물은 ‘인간과 신이 만나는 공간’이며 ‘인간 공동체의 공간’이다. 김수근은 교회를 경건한 공간, 조용한 공간, 따듯한 공간이 되도록 했고, 예수님의 사랑과 고통도 온전히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붉은 벽돌로 공간을 온통 감쌌다. 불광동성당은 5년 만에 완공됐다. 성전은 기도하는 손을 형상화했다. 경사지의 지형을 그대로 살려 성전 주변을 돌며 기도와 묵상의 공간이 되도록 했다. 또한 성모 동산을 오르며 십자가의 길과 함께 대성전으로 이어지는 안마당은 친교와 나눔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했다.

불광동성당은 작은 성미술 전시장이다. 조각가 김세중이 ‘제단의 십자가’, ‘예수성심상’, ‘김대건 신부상’, ‘성모동산 성모상’, ‘대성전 14처’를 조각했고, 서울대 미대 민철홍 교수가 대성전 제단과 감실을 조각했고, 최봉자 수녀가 성체조배실 감실과 담장 십자가의 길을 조각했다.

어느 날, 마산에서 플라츠(한국명 박기홍) 신부가 김수근을 찾아왔다. 그러고는 다짜고짜 양덕성당을 지어달라고 했다. 김수근은 “나는 크리스찬이 아닙니다”라고 했다. 그렇지만 김수근은 실존적인 측면에서 전지전능한 하느님을 어렴풋이 느끼고 있었다. 신부와 대화를 나누면서 서로가 지향하는 점이 같다는 것을 알았다. 결국 김수근은 성당을 짓겠다고 약속했다. 신부가 요청한 ‘소박하면서도 우아하고, 단단하면서도 따뜻하며, 신비로우면서도 인간미가 풍기는 성당’을 짓기로 했다.

김수근은 나름대로 성당 건축의 이념을 생각했다. 첫째, 교회는 훌륭한 ‘화해의 장’이 되어야 한다. 둘째, 신자들이 하느님과 만나 영적 기쁨을 누릴 수 있는 ‘축제의 장’이 되어야 한다. 셋째, 미사의 기능과 친교의 기능 그리고 선교의 기능과 사회 공익적 기능을 포함하는 ‘다원화의 장’이 되어야 한다. 넷째, 권위주의를 지양하고 주변과 조화를 이루는 ‘환경의 장’이 되어야 한다.


 

 

마산교구 양덕동성당


마산교구 양덕동성당

양덕동성당 안으로 들어가려면 좁고 긴 계단을 걸어 올라가야 한다. 신자들은 이 길을 걸으면서 마음을 경건하게 가다듬으며 하느님을 만날 준비를 한다. 양덕동성당은 불규칙한 다각형 공간이다. 그래서 도면으로 그려내기가 무척이나 까다로웠다. 그런데 다행히 설계 책임을 진 젊은 건축가가 수학과 기하학의 지식을 갖고 있어 도면을 그릴 수 있었다.

김수근은 양덕동성당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세계 건축을 다루는 일본 잡지(「SD」) 표지에 성당 사진이 실렸고 김수근의 건축 작품들이 특집으로 다뤄졌다. 어떤 시인은 양덕성당을 이렇게 말했다. “양덕동성당은 건축가 자신의 마음의 감옥 같았다. 내용이 없는 죄의 아름다움처럼 쌓아 올린 벽돌담들은 이 세상의 지친 말들을 말없이 받아주고 있었다. 한마디로 모성의 벽이다.”



서울 경동교회

경동교회는 서울 도심에 자리 잡고 있었다. 강원룡 목사는 김수근에게 교회 건축을 부탁했다. 강 목사는 “우리나라 개신교는 청교도의 후예인 미국 선교사들에 의해 전파되었기 때문에 기독교의 예술성이 거의 배제되었다. 집회소가 된 예배당은 상징과 이미지로 된 성경을 도덕 교과서로 도그마하여 ‘오늘 여기서’ 살아 숨 쉬는 진리를 화석으로 묻어 버렸다”라고 했다. 강 목사는 이런 자신의 생각에 맞는 건축가로 김수근을 택한 것이었다.

김수근은 경동교회를 불광동성당처럼 두 손을 모아 기도하는 모습으로 설계했다. 그리고 교회 입구에서 예배당으로 들어가는 길을 길게 돌렸다. 이는 예수님이 십자가를 지고 올라간 골고타 언덕을 표현한 것이다. 교회 안으로 들어서면 마치 성경 ‘요나서’에 나오는 큰 물고기 배 속에 들어와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병석에서 세례 받아

김수근은 하느님에게서 네 가지 재주를 부여받은 것 같다고 했다. 그 재주는 ‘정치적인 수, 경제적인 능력, 건축적인 재질(才質), 문화적인 식견’이라고 했다. 김수근은 세상을 떠나기 몇 해 전에 천주교 신자가 되었다. 당시 병석에 있었는데 자신이 설계한 불광동성당 주임인 정의채 신부로부터 세례를 받았다. 그는 한 줌의 흙으로 돌아가야 하는 인간의 운명을 깨닫고 하느님을 받아들인 것이다. 김수근은 독실한 불교 신자인 어머니에게 천주교로 개종하도록 간청했다. 어머니도 아들의 뜻을 받아들여 천주교로 개종했다. 아들을 사랑한 어머니는 아들의 종교까지도 사랑했다.

김수근의 꿈은 교육을 통해 젊은 건축가를 육성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공간아카데미’를 운영하려 했고, 국민대 조형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도 했다. 또한 새로운 ‘공간(空間)’을 경기도 파주 공릉에 지었다. 이렇게 그의 꿈이 하나씩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병이 찾아왔다. 쉬지 않고 끊임없이 일을 했기에 간에 이상이 왔다.

한 소설가가 공릉의 병상을 찾아갔다. 함께 손을 잡고 기도했다. 그때 김수근은 불쑥 “나 같은 죄 많은 사람도 하느님이 용서하실까?”하고 물었다. 그런 그의 얼굴은 마치 아기 같았다고 했다. 서울대 병원에 입원했을 때도 “하루하루가 이렇게 신비로울 수가 없어”라고 고백했다. 김수근은 간암 말기였다. 담양 소쇄원으로 내려가 마지막 남은 삶을 정리했다. 그곳 대자연 앞에서 흙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사실을 겸허히 받아들였다. 결국 김수근은 쉰다섯의 아까운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가 남긴 마지막 말은 ‘미안하다’였다.

“겨레의 아름다운 삶의 공간 만들기에/ 한평생 몸과 마음 오롯이 바치시니/ 이 나라 현대건축에 큰 발자취 남기셨네/ 활달한 그 기상과 푸짐한 인정으로/ 폭넓게 사시면서 이웃예술 돌보시니/ 가시매 크옵신 인품 새록새록 그리워라.”(시인 구상)



참고자료 : ▲김수근 「좋은 길은 좁을수록 좋고 나쁜 길은 넓을수록 좋다」(金壽根空間人生論). 공간사. 1989 ▲(재)김수근문화재단 엮음 「당신이 유명한 건축가 김수근입니까?」 공간사. 2006 ▲황두진 「건축가 김수근」 나무숲. 2007 ▲승효상 「묵상」 돌베개. 2019 ▲불광동성당 홈페이지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23-08-30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4. 30

시편 47장 2절
모든 민족들아, 손뼉을 쳐라. 기뻐 소리치며 하느님께 환호하여라.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