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교구 치명자산성지 담당 김영수 신부는 “제25회 요안루갈다제는 신앙과 문화가 만나 세상에 순교자 정신을 전하는 축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11일 전주 치명자산성지 평화의 전당 섬이정원서 열려
cpbc TV·라디오·cpbc 플러스 통해 녹화 방송 예정
“요안루갈다제는 전주의 문화와 순교자 정신이 함께 어우러진 자리입니다. 순교자들이 지킨 생명과 평화의 가치를 오늘 우리 삶 속에서 새롭게 발견하고, 신앙과 문화가 만나는 장에서 풍성히 나누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전주교구 치명자산성지 담당 김영수 신부는 10월 11일 전주교구 치명자산성지 평화의 전당 섬이정원에서 열리는 제25회 요안루갈다제를 앞두고, cpbc와의 인터뷰에서 “단순한 신앙 행사가 아니라 신앙과 문화가 만나 세상에 순교자 정신을 전하는 축제가 될 것”이라며 뜻깊은 자리에 초대했다.
올해 요안루갈다제에서는 세계 사형폐지의 날(10월 10일)을 함께 기념하고자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위원장 김선태 주교) 사형제도폐지소위원회가 마련한 ‘2025 사형제도 폐지 기원 음악회’도 함께 열린다. 조선 시대 신앙 선조들이 보여준 생명 존중과 평화의 정신을 기리고 오늘날 사형제도 폐지를 향한 사회적 공감대를 넓히기 위해 기획됐다.
음악회를 겸한 요안루갈다제는 3부로 구성된다. 오전 10시 교구장 김선태 주교 주례의 순교자 현양 장엄미사로 시작해, 낮 12시에는 유항검 나눔 비빔밥 행사가 이어진다. 오후 4시부터는 ‘평화를 말하다, 생명을 노래하다’를 주제로 사형제도 폐지 기원 음악회가 열린다.
김 신부는 “사형제도는 생명을 지키기 위한 법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생명을 해치는 모순적이고 잔인한 법”이이라며 “음악회 주제가 ‘평화를 말하다, 생명을 노래하다’인 만큼 순교자들이 하느님께서 주신 생명을 지켜내고 평화를 증거한 믿음의 정신을 남겼기에 사형제 폐지 운동과도 맞닿아 있다”고 설명했다.
김 신부는 “한국 교회 103위 성인과 124위 복자의 삶을 비롯해 시복시성을 앞둔 순교자들의 정신이 널리 전해지고, 세상을 향해 열린 순교 신앙의 터전, 영성과 문화를 함께 담아내는 영적 플랫폼이 되도록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며 “전주의 문화와 성지에 담긴 순교자의 얼을 충만하게 나누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 신부는 또 “전주교구가 ‘순교자의 고장’이라 불리는 만큼 치명자산성지와 평화의 전당이 2027 서울 세계청년대회에서 전주교구 대회의 거점 역할을 할 것이기에 함께 준비하고 있다”며 “순교자들의 신앙을 통해 청년들의 순례가 좋은 열매를 맺길 바라는 마음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요안루갈다제는 2001년 신유박해(1801년) 200주년을 기념해 순교자들의 신앙과 삶을 본받고 순교 신앙의 정신을 현양하기 위한 신앙문화 제전이다. ‘요안루갈다제’라는 명칭은 호남의 사도 복자 유항검의 아들 부부(유중철 요한·이순이 루갈다)의 세례명에서 따왔다. 이들은 동정 부부로 한국 교회에서 ‘찬란한 진주’로 불린다.
음악회는 cpbc 가톨릭평화방송 김빛나 아나운서가 진행하며, 가수 양지은·김광진, 테너 존노, 메조소프라노 변지현, 첼리스트 홍진호, 가수 빈예서가 무대에 오른다. 특히 김선태 주교와의 특별 대담을 통해 사형제도의 부당성과 생명 존중의 가치를 전할 예정이다.
음악회는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 사형제도폐지소위원회와 치명자산성지 요안루갈다제 제전위원회가 공동 주최하고, cpbc 가톨릭평화방송이 제작한다. 녹화 방송은 10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cpbc TV·라디오·cpbc 플러스를 통해 방영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