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교구
가톨릭정보
뉴스
메일
갤러리
자료실
게시판
클럽
MY
로그인
ENGLISH
성경
성경쓰기
가톨릭 뉴스
소리광장
가톨릭 성인
성지/사적지
가톨릭 성가
생활성가
매일미사
성무일도
사목수첩
기도문
가톨릭 교리서
교리서 요약편
바티칸공의회문헌
교회 법전
7성사
가톨릭 사전
전국주보
본당정보
자료실
게시판
가톨릭 갤러리
가톨릭 주소록
상단 메뉴 열기
2025년 11월 19일
전체
교구/주교회의
본당/공동체
세계교회
기관/단체
사람과사회
기획특집
사목/복음/말씀
교구/주교회의
교구/주교회의
닫기
검색창 열기
메인메뉴
전체뉴스
교구/주교회의
본당/공동체
세계교회
기관/단체
사람과사회
기획특집
사목/복음/말씀
생명/생활/문화
사진/그림
가톨릭미디어
사목/복음/말씀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사목/복음/말씀
참하느님이시며 참인간이신 예수 그리스도
[저는 믿나이다] (52) 예수 그리스도
참하느님이시며 참인간이신 예수 그리스도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완전한 계시이다. 라파엘로 산치오, ‘주님의 거룩한 변모’, 1516~1520년, 바티칸박물관.
가톨릭평화신문
2025-11-19
젊은 성인, 죽음 앞에서도 ‘주님 뜻대로’...
2025년 9월 7일 카를로 아쿠티스의 시성을 맞아 한국천주교 주교회의에서는 성인의 유물함을 전시했다. 주교회의 제공 두 달 전 자신의 죽음을 예견한 성인 카를로 아쿠티
가톨릭평화신문
2025-11-19
“자기 자신 외에 상처 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인간은 상처받기 쉬운 존재다. 그것은 인간의 영혼이 연약하기 때문이다. 마음의 상처는 영혼에 항상 그 흔적을 남기기 때문에 가능한 한 상처를 받지 않도록 평상시 영혼의 근력을 키
가톨릭평화신문
2025-11-19
가난한 이들을 위한 가난한 교회
얀 반 데르 스트라크 작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 전례력으로 한 해의 마지막 주일은 하늘과 땅의 모든 권한을 받으시고 우리를 영원한 생명에로 인도하시
가톨릭평화신문
2025-11-19
독서, 인공지능이 대신할 수 없는 인간다움 지키는 일...
가을의 끝자락, 바람이 차갑게 스며들고 길가에 낙엽이 수북이 쌓인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문득 글을 쓰고 싶어진다. “마른 나뭇가지에서 떨어지는 작은 잎새 하나?&rdqu
가톨릭평화신문
2025-11-19
대신 기도하지 말고, 신앙 상속하자...
수능시험이 끝날 무렵은 자녀 신앙교육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되는 때다. “기도는 내가 할 테니 넌 열심히 공부나 해.” 성당에 나가지 않는 대신
가톨릭평화신문
2025-11-19
[말씀묵상]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우리는 인생살이 전체가 언제나 시작이 있으면 마침이 있고, 마침이 있으면 새로운 시작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교회 전례력 역시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
가톨릭신문
2025-11-19
많이 조회한 뉴스
1
내가 죽을 때 세상은 울어도 나는 기뻐할 수 있을까
2
지상 순례 마쳤지만 우리와 함께하는 카를로 성인
3
죽음 예감한 카를로 성인의 마지막 인사
4
진통의 시대, 고통은 통제 대상이 아니라 수용의 신비
5
문화의 비극, 삶과 형식 대립하는 자기모순에서 비롯
6
거룩한 성전의 기초인 평신도
7
가난한 이들을 위한 가난한 교회
최근 등록된 뉴스
젊은 성인, 죽음 앞에서도 ‘주님 뜻대로’
“자기 자신 외에 상처 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가난한 이들을 위한 가난한 교회
독서, 인공지능이 대신할 수 없는 인간다움 지키는 일
대신 기도하지 말고, 신앙 상속하자
참하느님이시며 참인간이신 예수 그리스도
[말씀묵상]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QUICK MENU
참하느님이시며 참인간이신 예수 그리스도...
참하느님이시며 참인간이신 예수 그리스도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완전한 계시이다. 라파엘로 산치오, ‘주님의 거룩한 변모’, 1516~1520년, 바티칸박물관.
[말씀묵상]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우리는 인생살이 전체가 언제나 시작이 있으면 마침이 있고, 마침이 있으면 새로운 시작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교회 전례력 역시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사도 바오로를 후원하고...
가곡의 왕이란 불리는 프란츠 페터 슈베르트(1797~1828)는 오스트리아의 작곡가로 관현악곡, 교회음악, 실내악곡, 피아노곡 등 명작을 남겼다. 31세로 아깝게 세상을 떠난 슈베
‘생명을 중단할 권리’도 있을까?
조력 자살을 반대하는 손팻말. OSV 제10장 삶의 끝에서 – 죽음과 고통의 문제 전개 3. 죽을 권리와 자살의 문제 사람들이 안락사나 조력 자살을 법적으
[금주의 성인] 성 골룸바노(11월 23일)...
골룸바노 성인. 굿뉴스 543년경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골룸바노 성인은 어머니 반대에도 어릴 때부터 수도생활을 결심했습니다. 시편을 주석할 정도로 똑똑했던 그는 북아일랜드
문화의 비극, 삶과 형식 대립하는 자기모순에서 비롯...
근대 사회의 발전은 인간 이성과 창조력을 토대로 이룬 성취의 역사이지만, 동시에 인간이 만든 체계나 산물에 의해 지배받는 자기모순을 낳음으로써 인간의 자기 소외를 발생시킨다.
내가 죽을 때 세상은 울어도 나는 기뻐할 수 있을까...
삶은 죽음을 닮고, 죽음은 삶의 거울이다. 하루가 온전한 인생이라면, 우리는 매일의 하루 속에서 이미 죽음을 연습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갓 태어난 아기가 울음을 터뜨리며 탄생을
가난한 이들을 위한 가난한 교회
프란체스코 하이에츠 작 '예루살렘 성전의 파괴' 교회 전례력으로 한 해의 막바지 복음 말씀은 종말에 관한 가르침입니다.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하느님 현존
지상 순례 마쳤지만 우리와 함께하는 카를로 성인...
이탈리아 아시시 산타 마리아 마조레 성당에 안치되어 있는 카를로 아쿠티스 성인의 모습. 전주교구 안봉환 신부 제공 위로받기보다 위로해야 했던 카를로의 부모 2006년
[금주의 성인] 성 로사 필리핀 뒤셴(11월 18일)...
로사 필리핀 뒤셴 성인. 굿뉴스 로사 필리핀 뒤셴 성녀는 1769년 8월 29일 프랑스 그르노블에서 태어났습니다. 로사의 아버지는 저명한 법률가였고, 어머니는 존경받는
스스로 죽음 앞당기는 안락사
프랑스 마르세유의 한 병동에 환자가 누워있다. OSV 제10장 삶의 끝에서 – 죽음과 고통의 문제 전개 2. 안락사와 의사 조력 자살 “호주에
한 분이신 아버지 하느님께서는 어떤 분이신가...
그리스도교는 “하느님께서는 한 분이시며 전능하시고 유형무형의 만물을 창조하신 분”이심을 신앙으로 고백한다. 미켈란젤로, ‘천지 창조’
주님께 다가서기 위한 영적 휴식
얼마 전 라디오에서 도시의 삶에 지쳐 몸과 마음을 추스르고자 일을 그만두고 시골집에 돌아와 휴식을 취하며 모처럼 만의 삶의 여유를 느꼈고, 어머니와 라디오를 들
[말씀묵상] 연중 제33주일, 세계 가난한 이의 날...
예수님 당시 예루살렘 성전은 이두매아 출신인 헤로데 임금이 유다인들의 환심을 사기 위해 바빌론 유배 이후 파괴된 솔로몬 성전을 재건한 제2성전을 크게 확장한 매우 아름답고 웅장한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집념과 인내의 믿음을 ...
어릴 적 퀴리 부인에 관한 위인전을 읽는 것을 좋아했다. 그 이유는 잘 모르겠는데 조국의 불행과 많은 고통을 딛고 학문에 전념하는 모습이 매력적이었던 것 같다. 마리 퀴리는 학창
인간은 실존을 향해 나아가는 ‘되어감의 존재’...
철학상담은 내담자의 ‘인격적 실존’에 참여하여 그들의 변화와 성장을 돕고자 한다. 대부분의 상담이 그렇지만, 특히 철학상담은 인격적 실존과의 진정성 있는 만
진통의 시대, 고통은 통제 대상이 아니라 수용의 신비...
“내 손은 약손이고, 네 배는 똥배다. 쓱쓱 낫거라.” 어린 시절, 배가 아프면 엄마는 손바닥으로 내 배를 문지르며 주문처럼 노래했다. 그러면 정말 마법
죽음 예감한 카를로 성인의 마지막 인사...
성 제라르도 병원에 도착했을 때 카를로 아쿠티스는 죽음을 예감하고 어머니에게 마음의 준비를 하라고 말했다. 그리고 결국 카를로는 이 병원에서 선종했다. 챗GPT 생성 이미지
거룩한 성전의 기초인 평신도
이번 주일은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이고, 연중 제32주일을 평신도 주일로 지냅니다. 로마에는 4곳의 대성전이 있습니다. 바티칸의 성 베드로 대성전, 외곽에 성 바오로 대
한 위격 안에 신성·인성이 온전히 결합된 그리스도...
제4차 보편 교회 공의회인 칼케돈 공의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한 위격 안에 온전히 결합되어 그대로 유지된다고 선포했다. 바실리 이바노비치 수리코프, ‘칼
이전
현재 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다음
서울대교구청 전화번호
서비스약관
개인정보 보호정책
도움방
전체보기
운영자에게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등록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