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교구
가톨릭정보
뉴스
메일
갤러리
자료실
게시판
클럽
MY
로그인
ENGLISH
성경
성경쓰기
가톨릭 뉴스
소리광장
가톨릭 성인
성지/사적지
가톨릭 성가
생활성가
매일미사
성무일도
사목수첩
기도문
가톨릭 교리서
교리서 요약편
바티칸공의회문헌
교회 법전
7성사
가톨릭 사전
전국주보
본당정보
자료실
게시판
가톨릭 갤러리
가톨릭 주소록
상단 메뉴 열기
2025년 10월 5일
전체
교구/주교회의
본당/공동체
세계교회
기관/단체
사람과사회
기획특집
사목/복음/말씀
교구/주교회의
교구/주교회의
닫기
검색창 열기
메인메뉴
전체뉴스
교구/주교회의
본당/공동체
세계교회
기관/단체
사람과사회
기획특집
사목/복음/말씀
생명/생활/문화
사진/그림
가톨릭미디어
사목/복음/말씀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사목/복음/말씀
아쿠티스 성인 시복시성의 숨은 조력자
[인터넷의 수호성인 카를로 아쿠티스] (21) 하느님께서 주신 재능, 하느님을 위해서...
카를로 성인의 재능과 작품들 “카를로 어머니와 꽤 오래전부터 알고 지냈어요. 어머니의 부탁을 받고 카를로가 작성한 글과 카를로를 알고 지낸 많은 이들이
가톨릭평화신문
2025-9-30
겨자씨 한 알만한 믿음이라도 있으면...
가난한 사람들의 복음화를 위해 일하는 가난한 사제들의 모임인 프라도사제회가 올해로 한국 진출 50주년을 맞이하였습니다. 프라도사제회에 각별한 애정이 있습니다. 언젠가 한국을
가톨릭평화신문
2025-9-30
‘사랑의 거리’는 단절이 아니라 거룩한 만남의 공간...
우리나라도 가족의 형태가 변화하면서 가정 안에서 사랑을 주고받는 관계성도 달라졌다. 적정한 거리를 두면서도 깊은 사랑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할머니부터 손주까지 삼대가 둘
가톨릭평화신문
2025-9-30
성과 집착에서 벗어날 때 삶 자체가 열매임을 자각...
재독 철학자 한병철(1959~)은 「피로사회」에서 오늘날의 인간을성과(成果) 주체’로 규정한다. 성과 주체는 스스로 과잉 긍정과 과도한 성과를 추구함으로써 자신에게 강
가톨릭평화신문
2025-9-30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베드로의 증언으로 첫 ...
네덜란드의 철학자 스피노자(1632~1677)는 유다인이었지만 자신과 같은 유다인들을 비판했기 때문에 큰 미움을 받았다. 그는 유다인 사회에서 쫓겨나고 생명의 위협까지 받았다. 스
가톨릭신문
2025-9-30
[말씀묵상] 연중 제27주일
하바꾹 예언자는 3장으로 이루어진 짧은 예언서에서 당시 예언자들과 백성들이 크게 고민하던 질문을 던집니다. 하느님께 기도하여도 왜 응답을 주지 않으십니까? 왜 세상에는 불의와 폭력
가톨릭신문
2025-9-30
용서의 문 열면 나쁜 감정의 출구 보인다...
우리는 어릴 때부터용서하는 법’을 배운다. 결국 자신을 위한 것인 용서는 결코 쉽지 않지만, 그 노력 끝엔 미움으로부터 해방되는 참된 자유가 기다리고 있다. OSV
가톨릭평화신문
2025-9-29
많이 조회한 뉴스
1
불안 극복하는 이에게 중독은 없다
2
용서의 문 열면 나쁜 감정의 출구 보인다
3
[금주의 성인] 한국 성인 103위 (9월 20일)
4
부모와의 관계 회복은 자신을 사랑하는 첫 번째 선택
5
실체가 없는 악의 직접적 원인은 인간의 ‘자유의지’
6
[금주의 성인] 성 가우덴시오 (10월 11일)
7
아쿠티스 성인 시복시성의 숨은 조력자
최근 등록된 뉴스
겨자씨 한 알만한 믿음이라도 있으면
아쿠티스 성인 시복시성의 숨은 조력자
‘사랑의 거리’는 단절이 아니라 거룩한 만남의 공간
성과 집착에서 벗어날 때 삶 자체가 열매임을 자각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베드로의 증언으로 첫 복음서를 집필한 마르코
[말씀묵상] 연중 제27주일
용서의 문 열면 나쁜 감정의 출구 보인다
QUICK MENU
아쿠티스 성인 시복시성의 숨은 조력자...
카를로 성인의 재능과 작품들 “카를로 어머니와 꽤 오래전부터 알고 지냈어요. 어머니의 부탁을 받고 카를로가 작성한 글과 카를로를 알고 지낸 많은 이들이
[금주의 성인] 성 가우덴시오 (10월 11일)...
프라하의 아달베르트 성인과 폴란드 그니에즈노의 가우덴시오 성인의 동상. 굿뉴스 가우덴시오 성인은 965년경 오늘날 체코인 보헤미아의 리비체 성(城)에서 그곳 영주인 슬라
용서의 문 열면 나쁜 감정의 출구 보인다...
우리는 어릴 때부터 ‘용서하는 법’을 배운다. 결국 자신을 위한 것인 용서는 결코 쉽지 않지만, 그 노력 끝엔 미움으로부터 해방되는 참된 자유가 기다리고
열망·탄생·돌봄·포기의 여정 거쳐
한 생명이 태어나 성장하고 성인이 되어 새로운 생명을 낳는, 세대 간 생명이 이어지는 모습을 보면 놀랍고도 신비롭다. 일전에 생명 전달의 원리를 일컫는 ‘제네러티
성부·성자·성령에 관한 교의 논쟁 심화...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명에 따라 성령 강림 때부터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었다. 하지만 2세기 말 들어 성부만을 참하느님으로 인정하
실체가 없는 악의 직접적 원인은 인간의 ‘자유의지’...
철학에서 가장 심오한 개념이 있다면 다름 아닌 ‘악(惡)’일 것이다. 오래전부터 철학은 악의 기원과 본질, 그리고 그 현상을 설명하고자 노력했다. 악은 &l
부모와의 관계 회복은 자신을 사랑하는 첫 번째 선택...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것을 미움으로 거부할지, 용서로 변화시킬지는 우리 자신에게 달려 있다. 그 변화를 이끄는 가장 강력한 힘은 사랑과 용서라는 거룩한 에너지다. 가을을 맞아 가
성체 기적을 인터넷에 담은 컴퓨터 신동...
카를로 아쿠티스 성인이 전 세계의 성체 기적 이야기와 사진을 모두 모아 만든 웹사이트의 첫 화면. 현재 이탈리아어와 영어를 비롯하여 19개 언어로 제공되고 있다. 성체
[생활 속의 복음] 이웃의 고통에 무관심한 죄...
작가 미상(에페르나흐 수도원 필사본), 부자와 나자로의 비유, 1030-1050년 오늘 복음은 부자와 거지 라자로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호화로운 생활을 하는 부자와 불행
[말씀묵상] 연중 제26주일, 세계 이주민과 난민의 날...
주님께서는 아모스 예언자를 통해 ‘걱정 없이 사는 자들, 마음 놓고 사는 자들!’이 불행하다고 말씀하십니다.(아모 6,1 참조) 걱정 없이, 마음 놓고 사는 삶은 대부분의 사람이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친구들의 도움으로 치유...
“내가 사흘간 볼 수 있다면 … 첫날에는 나를 가르쳐준 고마운 앤 설리번 선생님을 찾아가 그분의 얼굴을 보고 산으로 가서 아름다운 꽃과 풀과 빛나는 노을을 보고 싶습니다. 둘째 날
[금주의 성인] 한국 성인 103위 (9월 20일)...
현석문 가롤로 성인. 가톨릭평화신문 DB 현석문(가롤로, 1797~1846) 성인은 현계흠(플로로, 1763~1801) 복자의 아들이자 기해박해 때 순교한 현경련(베네딕
불안 극복하는 이에게 중독은 없다
제9장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전개 2. 중독 이해하기(5) 마지막으로 하느님에 대한 사랑과 신앙으로 중독의 원인 가운데 하나인 불안을 이겨내는 것입니다. 불안은 믿을 수
‘성부와 성자는 한 본체’ 확인한 니케아 공의회...
첫 번째 세계 공의회인 니케아 공의회는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정하고 종속론을 주장한 아리우스 이단을 단죄하고, ‘예수 그리스도는 참하느님에게서 나신 참하느님이시며 아버
나를 죽이고 새 삶을 사는 여정
‘어쩌다 어른’이란 말이 있다. 정신없이 살다 보니 어느새 어른이 되었다는 뜻도 있지만, 준비되지 못한 채 어른으로 살아가게 되는 안타까움을 일컫는 말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것이 차별의 악순환 끊는 첫걸음...
우리는 타인의 시선·구별 짓기 문화 속에서 진정한 나와 상대·본질을 바라보며 사는가? 나의 가치를 내가 가진 것에만 두진 않는가? 한 시민이 서울의 고
물질문화와 정신문화 상호작용해야 행복한 삶 가능...
돈은 인류가 만들어낸 가장 강력한 도구로서 현대 자본주의 사회를 이끄는 원동력이자 인간 삶을 이끄는 중추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이렇게 돈이 지닌 힘과 영향력 때문에
[말씀묵상] 연중 제25주일
오늘 복음의 비유에는 한 집사가 등장합니다. 그는 어떤 부자의 재산을 관리하였는데, 그것을 낭비한다는 소문이 돌아 해고될 처지가 되었습니다. 이에 호구지책을 궁리해 봤지만, 그는
자기 이해와 돌봄, 건강하고 행복한 삶 위한 열쇠...
무언가를 물어도 대답하지 않고 빤히 쳐다보는 Z세대(1997년∼2006년생)의 행동 양상인 ‘젠지스테어’를 AI가 표현한 일러스트. 챗GPT 제작
[허영엽 신부의 성경 속 인물] 작은아들을 되찾은 아버...
청년성서모임 50주년 행사 자료집에서 그동안 연수를 지도한 신부님들의 명단을 보았다. 청년성서모임 담당 신부님을 제외하고 내가 가장 많은(?) 36번의 지도를 했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전
현재 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다음
서울대교구청 전화번호
서비스약관
개인정보 보호정책
도움방
전체보기
운영자에게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등록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