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일 일본 이시카와현 노토(能登) 반도 지역에서 규모 7.6 지진이 발생했다. 진도 7의 강진으로 인해 시가 핵발전소의 사용후핵연료 수조 물이 밖으로 유출됐고 1호기와 2호기에서 나온 방사능량은 각각 1만7100㏃, 4600㏃로 추정된다. 뿐만 아니라 이시카와현과 인접한 니가타현에서도 진도 6의 강한 흔들림이 감지됐고, 이곳의 가시와자키카리와 핵발전소 사용후핵연료 수조에 있던 물도 바다로 흘러들었다. 도쿄전력은 누출된 방사능량은 공개하지 않았다.
▶관련기사 10면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는 100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시카와현 내에서만 1000채가 넘는 집이 붕괴됐고, 도시는 아비규환이 됐다. 주민들을 위험에 빠뜨린 것은 지진만이 아니었다. 지진의 충격으로 발전소 밖으로 유출된 방사능물질은 13년 전 후쿠시마핵발전소 사고를 떠올리게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본 당국은 “두 핵발전소에서 손상이나 누출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안전하다고 발표했다.
이번 지진으로 강원 동해시 묵호항에서 85㎝ 높이의 지진해일이 관측됐다. 동해안에 지진해일이 밀려온 것은 1993년 이후 처음이다. 작지만 일본에서 시작된 지진해일이 동해안까지 밀려왔다는 소식은 국내 핵발전소가 자연적인 충격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방증했다.
11월과 12월 두 달간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은 6건으로, 가장 최근인 11월 30일에는 경북 경주에서 규모 4.0의 지진이 발생했다. 2016년 경주 지진 이후 정부가 동남권 단층을 조사한 결과 월성핵발전소 주변에서 큰 규모의 활성단층 4개를 발견했다. 전문가들은 4개 단층이 규모 6.5의 지진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경주를 포함한 동해안에 지어진 핵발전소는 총 18기로 전체의 76에 달한다.
탈원전 정책 폐기를 목표로 한 윤석열 정부는 현재 건설 중인 신한울 3·4호기 외에도 추가 4기의 신규 핵발전소를 건설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러한 정책 방향은 수치로도 드러났다. 지난해 거래된 국내 총 전력량(54만3326GWh) 중 핵발전 비중은 17만568GWh(31.6)로 2015년 이후 가장 높았다.
이에 환경단체들은 핵발전 부흥정책을 포기하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2020 원전안전운영정보시스템 결과를 바탕으로 “1978년부터 2020년 9월 11일까지 42년 동안 원전에서 일어난 ‘사고·고장’은 모두 760건으로, 한 달에 한 번 이상 문제가 생긴 셈”이라며 “게다가 2023년 한 해 동안만 한반도에서 100건이 넘는 지진이 발생했는데 잦은 지진 발생으로 인해 누적되는 원전 설비 스트레스로 인한 위험은 없는지 우려스럽다”고 1월 3일 밝혔다.
자연재해 등 불확실한 요소가 산재한 상황에서 핵발전소 운영은 우리가 예측하는 것보다 더욱 끔찍한 위험요소들을 내재하고 있기에 그리스도인의 시각에서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주교회의 생태환경위원회 총무 양기석(스테파노) 신부는 “과거에 큰 지진이 없었다고 해서 영원히 안전할 수 없다는 것을 우리는 이번 지진으로 다시 한번 경험했다”며 “방사능 유출뿐 아니라 고준위핵폐기물 처리 등 감당해야 할 부담이 큰 핵발전소 운영이 과연 안전뿐 아니라 경제적으로 이익이 있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누군가의 희생을 통해 얻은 이익은 그리스도인다운 모습이 아님을 기억하며 하느님이 보시기에 합당한 것이 무엇인지 우리의 에너지 소비생활에서 돌아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경화 기자 mkh@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