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문제가 우리나라 최대 현안 중 하나로 떠오르는 가운데, 가정과 생명에 대한 가르침을 확산시키기 위해 교회가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2013년 32.3만 건이던 혼인 건수는 지난해 19.4만 건으로 떨어졌다. 한국리서치가 지난해 혼인 감소 이유에 대 조사한 결과(응답자 수 1000명, 3개까지 복수 응답), 결혼 비용 증가가 55, 출산·양육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이 49, 늦어진 경제적 자립이 29로 나타났다. 경제적 이유뿐만이 아닌 삶에 대한 달라진 가치관도 원인으로 지목됐다. 결혼은 선택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32에 이른다.
지난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OECD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또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 명으로, 1995년 71.5만 명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합계출산율은 한 여성이 가임기간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말하고, 현 인구 규모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2.1이 돼야 한다.
저출생으로 인한 문제점도 대두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현재 3674만 명인 생산연령인구는 50년 후 절반 이하인 1658만 명으로 줄어 산업 인력이 부족해질 전망이다. 또한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교육 인프라 붕괴가 예상되고, 현재 50만 명인 상비병력도 2045년에는 17만 명이 부족해진다. 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047년에는 157개 시군구가 인구가 줄어 전국이 소멸위험단계에 맞닥뜨리게 된다.
이에 정부는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다. 7월 2일 서울 포시즌스 서울 그랜드볼룸에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이하 위원회) 등이 주최한 ‘2024 저출생 위기 극복을 위한 선포식 및 국민 콘퍼런스’(이하 콘퍼런스)에서 위원회 주형환 부위원장은 기조 강연을 통해 저출생 대책을 밝혔다. 출산 가구 대상 주택공급 연간 12만 호 이상 확대 등 신혼·출산 가구 주거지원 강화, 공공보육 이용률 50로 확대 등 돌봄 서비스 제공,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등 일과 가정의 양립 도모 등이 그것이다.
교회도 계속해서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서고 있다. 주교회의 가정과 생명 위원회(위원장 이성효 리노 주교)는 출생의 근간인 혼인과 가정뿐만 아니라 낙태 반대, 생명 수호에 대한 정기 세미나와 생명 대행진, 가정과 생명을 위한 미사 등을 매년 개최하고 있다. 또 각 교구에는 가정사목을 강화하고 혼인 교리, 부모 학교, 사랑과 생명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위원장 정순택 베드로 대주교)도 여러 활동을 통해 저출생 극복에 힘쓰고 있다. 교구 내 243개 본당에 생명 분과를 조직했고 2005년부터 생명의 신비상 시상을 통해 생명의 존엄성을 일깨우며, 매년 5월 첫째 주 일요일을 생명 주일로 지정해 관련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미혼부모기금위원회를 운영 중이며 여성가족부, 우리은행과 함께하는 우리원더패밀리라는 미혼부모 지원사업으로 생명 보호에 나서고 있다.
주교회의 의장 이용훈(마티아) 주교는 콘퍼런스에서 “저출생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가정, 기업, 사회, 국가, 교회가 다 함께 고민해야 하는 사안”이라며 “교회도 주교회의 가정생명위원회, 생명윤리위원회, 생명운동본부 등을 두고 위기 극복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사무국장 오석준(레오) 신부는 저출생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생명 존중 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오 신부는 “그동안 사회로부터 희생당한 가정이 그 가치가 회복돼 본연적 모습을 찾고 그 의미가 충분히 인식된다면, 앞으로 개인의 선택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