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26일
사목/복음/말씀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다양한 십자가에 담긴 주님의 무한한 사랑

[박모란 교리교사의 교리, 궁금한 건 못 참지] (14) 영원한 생명의 열매를 맺는 십자가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이탈리아 몬레알레 대성당에 새겨져 있는 베드로 성인의 순교 당시 십자가 형상 작품. 출처=Wikimedia Commons



요즘 참 궁금한 것이 많은 학생이 묻습니다. “선생님, 우리 집 십자가와 성당 십자가가 모양이 달라요. 십자가는 다 똑같이 생긴 줄 알았는데, 종류가 여러 가지인 건가요?” 십자가 모양이 다른 것에 의문이 생겼나 봅니다. 십자가의 뜻부터 종류까지 차근차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십자가(十字架)

2000년 전 유다인 법률에 의하면, 십자가는 가장 큰 범죄자에게 사형을 집행할 때 쓴 틀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 죄를 대신 지고 십자가에 매달려 돌아가셨습니다. 곧 십자가는 구원과 그리스도교의 대표적 상징입니다.

가톨릭의 십자가는 보통 십자가와는 달리, 그리스도께서 매달려 계십니다. 그리고 몸에는 ‘오상''(다섯 군데 상처)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 십자가를 ‘십자고상’이라 일컫습니다.



십자가의 의미

1. 하느님의 공의성(公義性) : 주님과 인간 사이의 죄악으로 말미암아 불의가 싹트고, 사람으로서 지키고 행해야 할 바른 도리가 깨지는 것을 다시금 바로잡기 위한 것으로, 공의성은 모든 일에 공평하고 의로운 하느님을 뜻합니다.

2. 사랑의 절정 : 십자가는 사랑의 상징입니다. 인간에 대한 하느님 사랑의 표현입니다.

3. 죽음과 고통의 긍정 : 십자가는 죽음의 상징이 아니라 생명의 상징입니다. ‘죽어야 사는 것’이라는 진리를 가르치는 것이 바로 십자가입니다. 우리가 십자가를 묵상하는 것도 새로이 살아가기 위함입니다. 곧 십자가의 죽음은 생명의 씨앗입니다.



십자가의 종류와 모양



라틴 십자가

가로장보다 세로장이 더 긴데, 이는 십자가에서 처형된 그리스도의 몸체를 본뜬 것입니다.



타우 십자가

타우 십자가 또는 ‘성 안토니오 십자가’라고도 불립니다. 모세가 히브리 민족을 구원하고자 구리뱀을 올려놓았던 장대 기둥의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민수 21,4-9)



그리스 십자가

추상적인 형태로, 가로장과 세로장의 길이가 같습니다. 그래서 원이나 사각형 안에 새겨지기도 합니다.



성 안드레아 십자가

성 안드레아 사도가 순교할 때 사용된 십자 형틀을 본뜬 것입니다.



성 베드로 십자가

성 베드로 사도는 순교할 때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려 순교했습니다. ‘주님과 같은 방식으로 순교할 수 없다’고 했던 베드로 성인의 존경 어린 의지가 담겨있습니다.



예루살렘 십자가

그리스 십자가 형태이면서 네 귀퉁이에 보다 작은 그리스 십자가가 하나씩 더 붙어 있습니다. 전체가 사각형 안에 새겨집니다.



러시아 정교회 십자가

하단부에 대각선으로 놓인 작은 가로장이 있습니다.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매달릴 때 딛고 서 있을 수 있도록 형틀 앞에 놓은 받침대를 본뜬 형태입니다.



이밖에도 삼위일체·비잔틴·안사타·몰타·스카우트교황·대주교·켈트·위그노 십자가와 끝이 갈퀴 모양으로 갈라진 십자가 등이 있습니다.
 


이처럼 십자가의 종류와 모양<표 참조>은 다양하지만, 그 안에 담긴 의미는 같습니다. 십자가는 우리에게 영원한 생명을 얻어주신 그리스도께서 당신 자신을 온전히 하느님 아버지께 희생 제물로 드리신 형상입니다. 이는 곧 주님께서 우리를 무한히 사랑하고 계심을 드러냅니다.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24-08-21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8. 26

집회 35장 23절
이방인들에게 원수를 갚으실 때까지, 방자한 자들의 무리를 땅에서 뽑아 버리시고 불의한 자들의 왕홀을 부러뜨리실 때까지 당신 백성의 송사를 판결해 주시고 당신의 자비로 그들을 기쁘게 하실 때까지 그렇게 하신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