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16일
생명/생활/문화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성 김대건 신부의 삶 조명한 정본 전기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김대건 조선의 첫 사제

이충렬 지음

김영사



한국인 최초의 사제인 성 김대건 신부의 삶이 한 권의 책에 담겼다. 2021년 성 김대건 신부 탄생 200주년, 유네스코 세계기념인물 선정 등을 기리기 위해 이충렬(실베스테르) 작가가 한국교회사연구소의 자료와 감수를 받아서 펴낸 공식적인 김대건 정본(定本) 전기다. 저자는 방대하고 치밀한 자료 조사를 통해 그동안 불확실했던 5년 반 동안의 마카오 신학교 생활과 어린 시절은 물론 1846년 25세의 나이로 한강 새남터에서 순교하기까지 김대건 성인의 총체적인 삶을 500여 쪽에 빼곡하게 실었다. 특히 1845년 한국인 최초의 사제가 되었음을 친필로 서약한 ‘김대건 신부 서약서’도 2021년 교황청을 통해 입수한 라틴어 원본으로 170여 년 만에 정식으로 공개한다.

“김대건 신부가 스물다섯 살의 젊은 나이에 순교했다고 하면 깜짝 놀라는 이가 많다. 우리나라 첫 번째 신부라는 사실은 알지만, 구체적인 삶에 대해서는 잘 모르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은 여기에서 출발한다. 200년 전, 이 땅에 무슨 일이 있었던가? 김대건은 어떤 사람이며, 무엇이 그를 사제의 길로 이끌었을까? 어떻게 조선의 첫 번째 사제가 되었으며, 왜 사제 서품 1년 1개월 만에 순교의 길을 걷게 된 것일까? 그리고 한국 천주교에서는 왜 김대건 신부를 모든 성직자의 모범으로 공경하는 것일까?”(12쪽)

책의 감수를 담당한 조한건(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신부는 추천사에서 “치밀한 고증뿐 아니라 근거가 확실한 새로운 내용이 많아서 놀랍다. 다수의 옛 지도를 통해 김대건 신부의 삶과 활동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두었다. 김대건 신부님의 삶 속에 조선 후기의 천주교 역사, 박해 시기를 살아가던 교우촌 생활과 신앙생활을 잘 담아냈다”고 전했다.

한편, 이 책의 인세 절반은 그동안 김대건 신부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한 한국교회사연구소의 연구기금으로 기부된다.



윤하정 기자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22-07-20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6. 16

1테살 2장 13절
하느님의 말씀이 신자 여러분 안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