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기획특집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대림 기획] 신앙의 해, 대림시기 어떻게 보낼까? - 대림환

가정에서 대림시기 의미 되새기며 기도를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대림시기 전례의 장식 중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바로 대림환이다.

사실 대림환은 교회의 오랜 전통이라고 부르기는 어렵다. 대림환을 최초로 사용한 사람은 독일의 개신교 선교사인 요한 비허른(J.H.Wichern)으로 1833년 함부르크에서 무의탁 청소년들을 위해 대림시기 동안 촛불을 켜놓았던 것에서 시작됐다. 요한 비허른은 1860년대에 대림시기에 사용하는 초를 전나무가지로 푸른 환 형태로 만들면서 현재의 대림환과 유사한 형태로 발전시켜 나갔다. 이후 대림환의 풍속은 급속히 전파돼 독일을 비롯한 유럽지역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이 대림환이 교회의 전례에 소개된 것은 1977년 독일의 축복예식서(Benediktionale)로 대림환의 강복에 대한 예식이 담겨있다.

4개의 초와 둥근 사철나무 가지로 구성된 대림환은 다양한 상징을 담고 있다.

먼저 4개의 초는 구약의 4000년과 대림시기의 4주간을 의미한다. 보라색, 연보라색, 분홍색, 흰색의 4가지 초로 구성된 대림초는 대림주간이 지남에 따라 어두운 색에서 밝은 색의 순으로 촛불을 밝혀 나간다. 이는 성탄시기의 절정인 빛을 향해 단계적으로 밝아지는 광명을 나타낸다. 또한 대림초의 주변을 둥글게 감싸는 나뭇가지는 푸른 사철나무의 가지를 이용하는데 푸른 나뭇가지는 생명을, 둥근 모습은 승리와 시작도 끝도 없으신 하느님을 의미한다. “어둠 속을 걷던 백성이 큰 빛을 봅니다”(이사야 9,1)라는 이사야 예언자의 말처럼 대림환은 구원의 역사를 떠올리게 하면서 정의의 태양이 솟아오르기까지 긴 밤을 점차 밝히는 예언의 빛을 상징한다.

대림환의 온상은 바로 가정이다. 교황청 경신성사성의 「대중 신심과 전례에 관한 지도서:원칙과 지침」은 ‘그리스도인 가정에서 초록색 잎들로 엮은 환 위에 4개의 초를 꽂아두는 것은 대림시기의 상징’이라고 밝히고 있다. 미사 중 제대에서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가정에서 대림시기의 의미를 되새기며 기도할 때 대림환은 그 참된 의미를 살리는 것이 된다.


이승훈 기자 (joseph@catimes.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신문  2012-12-09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6. 29

콜로 3장 13절
누가 누구에게 불평할 일이 있더라도 서로 참아 주고 서로 용서해 주십시오. 주님께서 여러분을 용서하신 것처럼 여러분도 서로 용서하십시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