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3일
기획특집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우리농, 단순한 농산물 직거래 아닌 창조보전 운동이란 인식 전환부터

제16회 농민주일 - 우리농촌살리기운동 어디까지 왔나?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UR 협상 타결 이듬해 우리농 결성, 도시 농촌 함께 살리기 내세워
출범 17년 14개 교구에 62개 농촌공동체 214개 도시공동체로 성장
각 교구 조건마다 조건, 상황 달라 우리농 통일성 부족은 과제로 떠올라
인식 변화와 함께 생명농산물 소비할 도시생활공동체 활성화 먼저


 
농업은 `생명`이다.
우리나라 식량자급율은 26.7 수준에 머물러 전 세계적 기근이나 식량 무기화에 대응할 방법이 없다.
농업의 소중함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한 때다.
사진제공=가톨릭농민회
 

 
 하느님이 `땅 위에서 번성하여라`(창세 1,22)하고 지으신 인간과 자연, 만물이 태곳적 순수한 모습을 간직하고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에덴동산에서 나는 풍성한 과일을 따 먹으며 걱정 없이 지내지 않을까.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현재 전 세계 60억 인구 중 10억 명이 기아로 고통받고 있고, 환경오염과 기후변화 등으로 식량 생산이 줄어듦에 따라 식량 생산국들은 수출을 제한하고 있다. 게다가 초국적 농식품 복합 기업들은 식량 생산과 유통을 독점해 식량을 무기화할 움직임까지 보인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전체 인구의 6.4에 불과한 농민이 5000만 국민의 밥상을 책임지고 있지만 농민ㆍ농촌ㆍ농업에 대한 인식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30를 밑도는 식량자급도도 심각한 수준이다. 제16회 농민주일을 맞아 한국교회가 생명의 먹을거리를 지키기 위해 1994년 발족시킨 우리농촌살리기운동(이하 우리농)을 진단한다.


#우리농촌살리기운동은 도농 공동체 운동

 우리농은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이 1993년 타결되면서 우리 농업에 위기의 풍랑이 거세지자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이듬해 출범했다. 당시 서울대교구장 김수환 추기경이 출범에 앞서 `UR 협상에 대한 가톨릭농민회 견해`를 발표하고 시국미사를 봉헌하자, 안동교구를 시작으로 전국 교구가 시국미사를 봉헌하는 등 한국교회 전체가 농업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깊은 공감대를 이룬 것이 계기가 됐다.
 
 우리농은 UR 협상 이후 유예기간(10년)이 끝나 다시 쌀 개방에 대한 협상이 이뤄지는 2004년까지 도시와 농촌, 생산자와 소비자가 연대해 `환경보전형 지역농업 발전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우선 목표로 삼았다. 도시와 농촌을 함께 살리는 `도농 공동체 운동`을 기치로 내건 것이다.
 
 이 운동은 도시는 도시 본당의 구역ㆍ반을 기반으로 소비자 생활공동체를 조직하고, 농촌은 마을이나 공소 단위 생산공동체를 이뤄 생명의 먹을거리를 도시 본당에 공급하는 것으로 펼쳐졌다. 도시 본당과 시골 본당이 자매결연을 하고 농촌에서 생산한 농산물 직거래를 통해 믿을 수 있는 먹을거리를 제값을 주고 살 수 있게 한 것이다. 요즘 유행하고 있는 `1사 1촌 자매결연 운동`과 유사한 방식이다.
 
 이 운동을 통해 도시 신자들은 생산지 견학 등으로 농민의 어려움과 소중함을 체험하는 한편 자연에 대한 고마움을 느껴 환경사랑을 실천하게 됐고, 농민들은 도시 소비자들의 요구와 기호를 잘 알게 됨으로써 도농간 공동체적 친교를 이루게 됐다.
 
 우리농은 출범 17년이 지난 현재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뤘다. 서울ㆍ의정부ㆍ수원ㆍ청주ㆍ안동ㆍ춘천ㆍ제주 등 14개 교구에 본부가 설립됐고, 62개 농촌생활공동체(가톨릭농민회 분회)와 214개 도시생활공동체에서 1만 1636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6000여 명으로 가장 많은 회원을 확보하고 있는 서울대교구는 76개의 도시생활공동체(본당)와 명동ㆍ양평동ㆍ서초3동 등 6개 직매장을 갖췄다. 지난해 10월에는 물류비 절약과 신선한 농산물 보급을 위해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에 `공동물류센터`가 세워졌다.
 
 우리농 실천은 도시 본당과 농촌 본당이 다르다. 도시 본당 활동이 도농협력분과나 환경분과 등을 중심으로 △도시와 농촌 연대를 위한 신자 교육 △농촌 견학 △우리농 매장 증설 △천주교 농부학교(귀농학교) 운영 등이 주를 이룬다면, 농촌은 △유기순환적 지역농업 전개(생산) △녹색체험 △도농 나눔터 마련 등이 중심이 된다. `즐거운 불편 운동`에 나서는 것은 도농이 따로 없다.
 
 가톨릭농민회 정재돈(비오) 전 회장은 "우리농이 추구하는 목표는 크게 생명가치관 확립, 도농 공생, 생태적 생활과 생산양식 창출, 공동체적 삶의 실현 등 네 가지"라며 "우리농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농촌과 농업을 살리는 것을 넘어 반생명적 물질 중심주의와 산업문명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대안 운동을 지향한다"고 말했다.
 

 
▲ 서울 명동성당 입구에 있는 우리농 서울대교구 명동직매장 하늘땅물벗의 모습.
평화신문 자료사진
 


#더 나은 미래 위한 대안은 

 우리농이 출범 당시나 출범 10년째를 맞은 200



가톨릭평화신문  2011-07-17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7. 3

마태 11장 28절
고생하며 무거운 짐을 진 너희는 모두 나에게 오너라. 내가 너희에게 안식을 주겠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