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4일
기획특집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사순시기] ⑤ ''피로현상에 젖은 민족화해 물꼬''

민족 화해와 일치 여정은 신앙인의 의무... 대북 나눔 18년 ''피로현상''은 민족화해 ''첫 마음''으로 회복해 평화의 바람 일으켜야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1. 8ㆍ15해방 때 어머니 등에 업혀 고향 함흥을 떠난 실향민 한염(베네딕토, 68, 서울 수락산본당)씨는 최근 들어 대북지원은 꼭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같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1992년 주교회의 북한선교위원회(민족화해위원회 전신)를 통해 후원회원으로 가입해 20년간 후원을 해왔지만 북 식량사정은 개선될 여지도 보이지 않고 끝도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끝없는 지원에도 계속 분쟁을 일으키는 북에 정도 떨어진다. 그럼에도 그는 "인내를 갖고 계속 대북지원을 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한다. 신앙인이라면 화해와 용서를 가르친 예수 그리스도의 모범을 따라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요즘도 그는 1년에 한 차례씩 꾸준히 서울 민족화해후원회에 성금을 보내고 있다.

 
 #2. 이영재(아녜스, 63, 의정부교구 중산본당)씨는 오랫동안 대북지원에 함께한 후원회원은 아니다. 지난 2007년 서울대교구 민족화해학교를 수강하면서부터니까 올해로 5년째다. 달마다 1만 원에 불과하지만, 그 후원금이 훗날 북녘 선교에 도움이 되리라고 믿는다. 물론 북에서 미사일 발사나 핵개발, 소규모 국지전을 일으키는 걸 보면 배신감을 느낄 때도 없지 않다. 후원을 하면서도 내면의 갈등이 없지 않다. 그렇지만 통일이 되면 북한에서 선교를 하고픈 열망에 그는 매달 후원금을 꼭 챙겨 통장에 넣는다.



 
▲ `화해의 작은 씨앗` 대북 나눔도 이제 18년째로 접어들며 지원 피로현상을 겪자 이를 극복하고 평화의 물꼬를 트려는 움직임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12월 황해북도 사리원시 소재 보육원을 방문해 한 어린이를 안아주는 의정부교구 민족화해위원회 위원장 이은형(왼쪽에서 네 번째) 신부와 각 교구 민족화해위원회 사제들.
 

   #증오를 사랑으로, 분단을 일치로

 1995년 북녘 큰물 피해사태로 봇물이 터진 교회의 민족화해 여정은 현 정부 들어 급제동이 걸렸다. 대북지원은 수시로 끊겼고, 종교 교류도 거의 중단되다시피 했다.

 대북지원은 `원조 피로현상`이라는 말이 상징하듯 침체일로를 걷고 있다. 2000년 10억 5311만여 원으로 정점에 이르던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의 대북지원 실적도 지난해엔 밀가루 200t 지원에 액수도 1억 3164만여 원으로 8분의 1에 그쳤다. 현재 한국천주교회 대북지원 창구로 일원화된 (재)한국 카리타스 인터내셔널의 대북지원 액수도 최고치를 기록했던 2004년 8억 7290만 원에 비해 지난해 4억 6975만여 원으로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다른 나라 같으면 2~3년이면 끝날 긴급구호와 지원사업이 18년째 이어지면서 대북 지원사업은 탄력을 잃어가고 있다. 농업ㆍ의료구호사업 등 개발지원으로 서서히 선회하던 대북 나눔은 최근 들어 식량지원사업으로 한정된 형편이고, 간혹 의료지원이 이뤄지고 있을 뿐이다. 더군다나 종교인 교류는 거의 없을뿐더러 설령 있다고 해도 대북 지원물자 배분상황 현지점검(모니터링)을 위한 방북뿐이다.

 전쟁에서 갈등과 증오로, 선교 열망으로, 민족 화해와 일치로 이어져온 대북 관계에 다시 분단의 두터운 벽이 세워진 셈이다.

 길을 잃었다면 민족 화해운동도 `첫 마음`으로 돌아가는 것이 바른 길일 터다. 그 첫 마음은 1995년 3월 1일 김수환 추기경이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를 발족하며 남긴 취지문에 담겨 있다.

 "오늘의 교회는 민족공동체의 화해와 일치에 기여해야 할 책임을 지고 있다. 교회는 화해와 일치의 성사인 까닭이다. 이를 위해 자신의 지난날을 되돌아보고 스스로 참회하며 민족 구성원 모두에게 참회와 용서의 용기를 북돋아 줘야 한다. 그리하여 민족 내부에 자리잡은 증오를 사랑으로, 불화를 화해로, 분단을 일치로 이끌어 나가려 한다."

   
   #청소년 위한 `2012 평화의 바람` 기획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는 그래서 분단의 먹구름을 걷어내고 분열과 갈등에서 화해와 일치로 나아가고자 최근 새로운 기획을 하고 있다. 통일시대를 살아갈 분단 3세, 이산 3세 청소년들을 위한 `2012 평화의 바람(Wind of Peace)` 프로젝트다. 우선 오는 7월 말 1주일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군사분계선(DMZ) 평화ㆍ생태ㆍ역사 체험교육을 갖는다. 분단의 상징 철책선을 끼고 걷는 평화 순례를 통해 평화의 바람을 불러일으킨다는 계획이다. 장차는 북한이탈 청소년과 한국 청년들이 함께하는 평화교육을 기획, 분단세대들이 소박하게나마 화해와 일치, 통일을 이루는 계기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서울 민족화해위원회 본부장 정세덕 신부는 "앞으로는 새로운 세대들과 `하느님의 평화`를 나눔으로써 민족화해운동 전반을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려 한다"며 "평화라는 개념을 통해 젊은이들이 민족 현실을 직시하고 민족 화해와 일치를 향해 나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기원했다.

 서울 민족화해위원회는 따라서 남은 올해 사순시기만이라도 △민족 화해와 일치를 위한 후원에 작은 정성이라도 함께하고 △교구별로 진행되는 민족화해 특강 및 교육에 적극 참여하며 △북한이탈주민들에게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것을 주문했다.

오세택 기자
sebastiano@pbc.co.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12-03-25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10. 14

마르 3장 14절
예수께서는 제자들을 당신과 함께 지내게 하시고, 그들을 파견하시어 복음을 선포하게 하셨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