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일
기관/단체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민족화해운동 ''주춤'', 새롭게 출발해야

주교회의 민화위, ''한반도 휴전 60년, 이제는 평화로!'' 포럼 개최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 이기헌 주교가 휴전 60주년을 맞아 마련한 포럼에서 총평을 하고 있다.
단상 왼쪽부터 토론자 맹제영 신부, 사회자 나명옥 신부, 주제발표자 조광 교수, 토론자 변진흥 부소장.
 
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회(위원장 이기헌 주교)는 2월 19일 서울 중곡1동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4층 강당에서 휴전 60주년을 맞아 `한반도 휴전 60년, 이제는 평화로!`를 주제로 포럼을 갖고, 참된 평화의 길을 모색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조광(이냐시오) 고려대 명예교수는 이날 포럼에서 전쟁이라는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고 극복하려면 항구적 평화의 실천만이 유일한 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기에 "교회는 현대에 들어 이같은 비극을 극복하고자 `지상의 평화(Pacem in terris)`를 기원하며 평화를 위한 투신과 실천을 강조했고, 교황 요한 23세는 1963년에 이를 회칙으로 발표했다"는 것.

 조 교수는 "우리나라는 국가적 차원에서나 교회 입장에서나 평화를 추구하려는 강력한 노력이 요청된다"며 민족화해 증진을 위한 한국 천주교회 과제를 제시했다. △북녘 형제들을 돕기 위한 새로운 방안 모색 △평화운동에 대한 관심과 평화교육 실천 △평화를 위한 연구도 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평화 연구를 위해 △평화신학 발전에 연구비를 투입하고 △제도교육의 일부로 평화교육을 진입시키며 △주일학교에서라도 평화신학을 기초로 한 평화교육을 실천해 나갈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평화운동의 일환으로 양심적 병역 거부자 문제에 대한 대응도 검토할 것을 교회에 주문했다. UN 인권위원회가 1998년과 2000년 두차례에 걸쳐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권을 인정한 것을 상기시키고 이 권리를 유엔이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CPR)` 제18조에 명문화한 것을 근거로 양심적 병역거부자의 대체복무제 도입 문제에 교회가 관심을 가질 것을 요청했다. 현재 각 교구 민족화해위원회 활동 가운데 북한이탈주민 사도직을 따로 떼어내 사회복지나 정의평화 기구로 이전하는 방안도 내놓았다.

 조 교수는 "교회에서 제시하는 `화해`는 마음의 휴전선을 허물려는 작업이고, 정의와 사랑의 조화 상태인 평화를 이루는 결의를 뜻한다"며 "이 결의가 있을 때 남북은 서로 다른 존재이면서도 민족화해와 일치에 대한 궁극적 희망을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토론에 나선 변진흥(야고보) 한국 평협 사회사도직연구소 부소장은 "대북지원이나 교류 등에 대한 열기가 현저히 떨어진 것은 민족화해활동이 은총으로 주어지는 하느님 평화를 자신의 삶에 담아내는 신앙인의 의무라는 점을 신자들에게 각인시키고 신앙생활의 실천적 지표로 삼도록 하는데 실패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의정부교구 성직자실장 맹제영 신부도 토론에서 "휴전 60주년을 맞아 교회는 약화된 민족화해운동을 위한 새로운 중장기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며 "이런 목표가 정해지지 않아 민족화해 여정(프로세스)이 진행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기헌 주교는 포럼 총평을 통해 "포럼을 들으며 그간 평화교육이나 교류, 북녁 형제들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다는 자성이 앞섰다"며 "휴전 60주년이 흐지부지돼 가는 민족화해운동을 새롭게 추진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오세택 기자 sebastiano@pbc.co.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13-03-03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10. 1

1테살 5장 18절
모든 일에 감사하십시오.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살아가는 여러분에게 바라시는 하느님의 뜻입니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