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위원회(탄중위) 국민참여분과 가톨릭ㆍ개신교ㆍ불교ㆍ원불교 등 4대 종단 위원이 전원 사퇴했다. 종단 위원의 사태는 이들이 제시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50 상향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탄중위가 산업계의 반발을 고려해 제시한 35와는 차이가 크다.
종교 위원들은 9월 30일 발표한 성명을 통해 정부의 2050 탄소 중립 시나리오안과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안의 합리적 도출 가능성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며 이번 사퇴가 탄중위가 탄소 중립을 위한 본래 목적에 충실하기를 바라는 충심이자 절박함이라고 표현했다.
탄중위의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소극적 행보는 시민사회의 비난을 받아왔다. 불투명한 운영 방식, 비민주적 의사 결정 구조, ‘탄소 중립 없는’ 2050 탄소 중립 시나리오 초안 등은 시민사회에 큰 실망을 안겼다. 정부 쪽 위원장인 국무총리와 18명의 국무위원이 출범식 직후 열린 전체 회의 이후 단 한 차례도 함께한 적이 없다. 종교계를 포함한 민간위원 77명이 절차적 정당성 확보를 위한 도구로 사용됐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는 대목이다.
탄중위는 9월 29일 정부측 수치보다 소폭 상승한 40 상향 계획을 정부에 제출했다. 18일 최종안이 발표될 예정이다. 탄중위는 기후 위기를 막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데 필요한 목표와 과학적으로 밝혀진 내용을 국민에게 정직하게 알려야 할 기회다. 종교계의 온실가스 감축 50 상향안 역시 엄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한 종단 위원의 말처럼 원숭이가 호리병 안의 바나나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사냥꾼이 와도 손을 떼지 못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인류가 호리병 안에 있는 자본과 소비를 잡고 놓지 못한다면 인류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