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가 나서서 전반적인 기후위기 대응 시스템 대전환 해야"
[앵커] 기후위기 영향으로 홍수, 태풍, 폭염, 한파와 같은 극한기후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한 인명피해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요.
인류와 모든 생명체의 생존을 위협하는 기후위기, 이제는 시민 개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어떻게 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선 게 아닌가 싶을 정도입니다.
국가가 나서서 하루 빨리 사회 재난 시스템 자체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현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달 중순 전국의 집중 호우로 인한 사상자가 80명을 넘었습니다.
집중호우가 끝나자마자 다시 폭염이 시작됐습니다.
연일 계속되는 폭염에 온열질환 사망자만 벌써 열 명.
그야말로 ‘살인 더위’입니다.
환경 전문가들은 이러한 극한기후가 앞으로 더하면 더했지 나아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권우현 /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위기 팀장>
“올해와 같은 폭우, 폭염, 홍수, 가뭄 이런 것 것과 같은 자연재해는 계속해서 일어날 겁니다. 왜냐하면 기후위기는 이미 시작됐고…”
기후위기는 건강의 위기이기도 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제27차 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7)에서 기후위기를 보건위기로 규정했습니다.
기후위기와 재난으로 인한 영향은 또 불평등합니다.
국내 온열질환 사망자 가운데 의료급여 수급권자가 일반적인 국민건강보험 가입자에 비해 4배나 많았다는 사실이 이를 방증합니다.
의료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로 인해 시민들은 온열질환을 비롯해 심혈관질환과 감염병 등을 앓을 수 있고, 홍수 등 재난 상황에서는 정신건강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윤용주 요한 / 서울 동자동 쪽방촌 거주>
“(냉방이 안 되는 방에서 잠을 제대로 못자고) 그러다 보니까 자기 자신의 어떤 비관 같은 것도 많이 하게 되고. 그다음에 생활 처지에 대해서 ‘왜 이렇게 살까! 나는’ 그런 거에 많이 빠지면서. 그런 뭐라고 할까. 내가 삶을 포기하려고 하는 그런 거 그다음에 살아가자고 하는, 살려고 하는 의지력 같은 것이 그런 것이 약해져요.”
그래서 전문가들은 국가가 당장 나서서 기후위기 적응대책을 시급히 수립, 시행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입니다.
기후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유럽에서도 적응대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대책의 초점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 정책이나, 개인 컵 사용과 같은 시민 개개인의 노력만으로 해결될 수준이 아니란 겁니다.
<권우현 /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위기 팀장>
“온실가스를 줄이는 건 지금보다 더 심각한 기후 위기와 기후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미 변해버린 기후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서 시민들이 할 수 있는 노력은 사실 냉정하게 말하면 조심하는 것밖에 없어요.”
기후위기 비상상황에 맞춰, 사회?경제의 전반적인 시스템 대전환이 필요합니다.
기존의 시스템 붕괴에 대비해 기후 위기 적응과 회복을 위한 적응 강화에 중점을 둔 대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우선적으로 국가가 나서서 위기 이전의 기후상황에 맞춰진 치수, 건물, 농업 인프라 등을 바꿔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권우현 /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위기 팀장>
“기후위기 적응 분야는 정부가 훨씬 더 많은 재원을 투입해서 재난 인프라를 강화해야 되는 겁니다. 간단하게는 재난 쉼터 같은 것들을 확대한다든가, 쪽방촌 인근에 있는 분들이 전부 더위나 추위나 이런 걸 집에서 개인이 버텨야 되는 건데 그런 거를 대피소를 만들든지 그런 형태의 것은 정부가 사회 투자를 해야 되는 영역이죠.”
CPBC 김현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