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9일
사람과사회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민족·화해·일치] ‘우리 민족’ / 강주석 신부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얼마 전 아는 일본 신부로부터 ‘이산가족’을 도와주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다는 연락이 왔다. 시모노세키에서 이주민 사목을 하며, 재일동포 가운데 조선적(朝鮮籍)을 가진 사람들도 열심히 도와 주시는 분이다. 그런데 이번에는 중국동포 ‘조선족’(朝鮮族) 가족과 관련된 일이었다. 일본 정부로부터 추방당한 이들 조선족은, 현재 부모는 한국에, 미성년인 딸은 중국에 체류하고 있었다.

조중 국경도시에서 태어나고 자란 부모는 돈을 벌기 위해 20여 년 전 일본으로 건너갔다고 했다. 두 사람은 열심히 일했고 일본에서 태어난 딸이 중학생으로 성장할 때까지 세 사람은 단란한 가정을 이루며 살았다. 그런데 숨겨 왔던 체류 신분이 결국 불행을 가져왔다. 선처를 기대하면서 자수한 것이 화근이 된 것이다. 떳떳하게 일본 사회에 제대로 정착하고 싶었지만, 결론은 강제퇴거 조치였다.

일본인처럼 자란 딸과 모든 것을 버리고 갑자기 중국으로 가기는 어려웠다. ‘송환기피자’가 된 아버지는 어린 딸과 아내를 대신해서 4년이란 세월을 강제 수용소에서 보내야 했다. 이제 고등학생이 된 딸은 중국에 있는 조부모의 집에서 머물고 있지만, 중국어를 전혀 할 줄 모르기에 학교도 다니지 못하고 있다. 이들의 꿈은 세 가족이 한국에서 함께 사는 것이다. 하지만 체류자격을 얻을 수 있는 ‘중국교포’ 부모와 달리, 일본에서 태어난 딸의 한국 체류 문제가 걸림돌이 된 것이다.

여러 해 동안 이들을 동반한 도쿄 가톨릭센터 직원과 일본 신부님, 그리고 아이의 부모와 함께 우리 교구의 이주사목 신부님을 만났다. 비자 해결이 어렵다는 건 모두 잘 알고 있었지만, 한국과 일본 신부님들과 활동가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이산가족의 재회를 위해 계속 노력하기로 했다. 돌아가는 차 안에서 일본인 활동가에게 무언가 감사의 말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민족을 끝까지 도와 주셔서 감사하다’라는 뜻으로 말했는데 통역하던 ‘조선족’ 어머니의 목소리가 조금 떨리는 것 같았다. 헤어질 때 그녀는 작은 목소리로 ‘우리를 같은 민족이라고 불러 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인사했다.

얼어붙은 남북관계 때문만이 아니더라도 민족이란 말은 유행이 지난 것 같은 시대지만, 여전히 민족이라는 말에서 따뜻함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다. 이번 한가위에는 흩어진 우리 민족에게 성모님의 위로가 전해지기를 더 간절히 기도하자.
강주석 베드로 신부(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회 총무)



[기사원문보기]
가톨릭신문 2023-10-04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11. 29

시편 85장 11절
자애와 진실이 서로 만나고 정의와 평화가 입 맞추리라.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