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를 둘러본 배낭 여행객이 프랑스 남동부를 거쳐 파리로 가려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도시가 있다. 바로 프랑스 제3의 도시, 리옹이다.
프랑스의 수도 파리의 위치를 서울에 비유한다면, 마르세유는 부산, 리옹은 대구쯤에 있다고 보면 된다. 리옹은 공의회가 두 차례나 열릴 정도로 가톨릭교회로선 중요한 종교적 의미를 지닌 도시다.
비안네 신부가 첫 본당 주임 신부로 발령 받은 ‘아르스’는 이곳 리옹에서 북쪽으로 직선 거리로 25~30km 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아르스는 가난한 농촌마을이었다. 주민 수는 240여명에 불과했다. 성당도 오랫동안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낡은 상태였다.
가장 큰 문제는 마을 사람들의 신심이 그리 깊지 않았다는 점이다. 젊은이들 대부분이 성당에 나오지 않았고, 기본적 교리지식조차 몰랐다. 프랑스 대혁명(1789년) 이후 태어나고 자란, 젊은이들은 더이상 신앙에 대해 목말라하지 않았다. 마을 사람들은 신앙보다도 향락에 더 친숙해 있었다. 거의 매일 밤마다 술을 마시고, 흥청댔다. 주일미사도 어쩌다 한 번이었다. 첫영성체 이후, 영성체를 한 번도 하지 않은 남성들이 허다했다.
사제관에 도착해 짐을 푼 비안네 신부는 마음이 무척 상했다. 낡고 초라한 성당에 비해 사제관이 화려했기 때문이다. 비안네는 사제관에 있는 가구들을 없애기 시작했다. 비단으로 감싼 의자와 두 개의 화려한 침대 및 이불까지 모두 가난한 이들에게 주었다. 남은 것은 나무 침대와 낡은 테이블, 옷장이 전부였다.
비안네 신부는 곧바로 ‘사목’에 착수한다. 매일 시간을 쪼개서 신자 가정을 방문했고, 신자들과 영적 담화를 나눴다. 특히 그는 강론에도 집중했다. 문장력이 서툰 그는 30~40쪽 분량의 강론 원고를 작성하기 위해 거의 매일 밤을 새웠다. 게다가 그는 강론 원고를 모두 암기했다. 신자들은 길을 걸으면서 강론 원고를 중얼거리며 외우는 비안네 신부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었다. 비안네 신부가 강론에서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은 하느님의 사랑이었다. 그는 이 사랑과 복음을 열정적으로 선포했다. 특히 비안네 신부는 성체를 자주 영하라고 권고했다.
“성체를 모시십시오. 예수님께로 가십시오. 여러분이 예수님을 위한 삶을 살기 바랍니다. 너무 바쁘다고 말하지 마십시오. 예수님은 수고하고 지친 자들을 쉬도록 초대하십니다.”
“영혼은 하느님과 함께해야만 살 수 있습니다. 하느님만이 우리 영혼을 채우실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하느님이 필요합니다. 모든 가정에 식료품을 잘 보관하기 위한 저장실이 있습니다. 감실은 우리 모두의 저장실입니다.”
하지만 신자들의 반응은 냉랭했다. “잠시 저러다 말겠지”였다.
“즐기면서 편안하게 살려 했는데, 꽉 막힌 신부님이 마을에 오셔서 골치 아프게 생겼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마을 사람들의 마음은 아직 열리지 않았다.
그러나 비안네는 포기하지 않았다. 자신의 소명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좌절의 벽에 부딪힐 때마다 그는 기도하고, 또 기도했다. 또 사제의 길을 제대로 걷기 위해 잠을 자지 않고, 식사도 줄이는 등 고행도 마다하지 않았다. 늘 죄를 멀리 했으며, 하느님과 기도 안에서 살려고 노력했다.
하루는 이런 일이 있었다. 아르스 마을 촌장이 아침 일찍 일어나 산책로를 걷고 있었다. 멀리 비안네 신부가 보였다. ‘신부님이 이 시간에 웬일이지?’ 궁금한 마음에 촌장이 다가갔다. 비안네는 무릎을 꿇고 하늘을 향해 외치고 있었다. 그는 울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