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6일
교구/주교회의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하비루, 히브리, 이스라엘

[월간 꿈 CUM] 유랑 _ 이야기 구약성경 (8)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이스라엘 광야

고대 중국인들은 한반도와 만주 지역에 살고 있던 우리들의 조상을 ‘동이’(東夷)라고 불렀다. 직역하면 ‘동쪽 오랑캐’라는 뜻인데 중국 역사에서 중국 사학자들이 중국의 북동쪽과 한국, 일본 또는 그곳에 사는 종족을 이르는 말이다.

중국인들은 동이뿐 아니라 서쪽에 사는 오랑캐를 서융(西戎), 남쪽 오랑캐를 남만(南蠻), 북쪽 오랑캐를 북적(北狄)이라고 불렀다. 스스로를 세계의 중심이라고 생각하다 보니, 주변에 살고 있는 민족들을 모두 오랑캐로 인식한 것이다. 남 말 할 수 없는 것이, 우리도 중국 사람과 일본 사람을 낮잡아 각각 ‘되놈’과 ‘왜놈’으로 불렀다.

아브라함과 이사악, 야곱 시대에도 당시 문명지역(이집트, 메소포타미아)에서 주변 지역 사람들을 경멸적 의미로 지칭하던, ‘오랑캐’와 유사한 명칭이 있었다. ‘하비루’(Habiru)가 그것이다. 1887년 이집트에서 발굴된 ‘아마르나 문서’(기원전 14세기 것으로 추정)에 따르면 ‘아삐루’(Apiru) 또는 ‘하삐루’(Hapiru)라고도 불렸던 이들은, 기원전 2000년경 안정된 사회에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떠돌던 하층민이었다. 주로 팔레스티나 지역에 살던 무법자, 범법자, 용병, 노예, 반란자 등이 이 부류에 속했다.

이 하비루에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히브리어’, ‘히브리 민족’, ‘히브리인’의 ‘히브리’(Hebrews)를 떠올릴 수 있다. 참으로 비슷하다. ‘하비루’와 ‘히브리’ 두 단어에서 모음을 빼면 같은 자음인 ‘ㅎ’, ‘ㅂ’, ‘ㄹ’이 남는다.
이집트 카이로 인근의 기자 지역에 위치한, 약 4500년 전 지어진 쿠푸왕의 피라미드(높이 146m). 연대상으로 볼 때, 이집트로 팔려간 요셉도 이 피라미드를 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래서 과거에는 많은 학자들이 히브리의 어원을 하비루에서 찾기도 했다. 하지만 고대 근동 여러 지역에서 더 많은 문서들이 발견되면서 하비루인들은 히브리인처럼 고정된 혈통과 언어, 문화를 갖춘 민족 집단이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하비루는 특정 사회 계층을 경멸적으로 지칭하던 용어일 뿐이었다. 실제로 히브리인은 히브리어로 ‘이브리’(ibri)다. 배철현의 「신의 위대한 질문」(21세기북스, 2016)에 따르면 이 단어는 ‘경계를 넘나들다’ 혹은 ‘(규율을) 어기다’라는 뜻의 ‘아바르’(abar)라는 히브리 동사에서 파생했다. 히브리인은 한 곳에 정착하지 않고 경계를 넘나드는 자율적인 사람들이다. 히브리와 하비루는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당시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하비루라는 명칭을 히브리인을 지칭할 때 간혹 사용하기도 했다. 히브리인이 하비루인은 아니었지만, 하비루인으로 불리는 사람 중에 히브리인들도 섞여 있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히브리인들은 강대한 민족들의 용병으로 고용돼 전쟁에 가담하기도 했고, 노예로 팔려가기도 했으며, 특히 이집트에서는 다른 하비루들과 함께 피라미드를 쌓는 노역에 동원되기도 했다.

그렇다면 ‘히브리’(Hebrews)는 성경에서 어떤 의미로 사용될까. 히브리는 하느님 백성을 지칭하는 말로, 탈출기 5장 1-3절에서는 히브리인과 이스라엘인을 동일시한다. 아브라함에게도 히브리인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창세 14,13 참조) 적장의 목을 베기 위해 적진으로 들어간 유딧도 스스로를 ‘히브리 여자’라고 말했다.(유딧 10,12 참조) 「한국가톨릭대사전」에 의하면 신약성경에서 히브리인은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지 않은 순수한 유대인들을 가리키기도 하고,(사도 6,1 참조) 유대인들을 이방인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이기도 하다.(2코린 11,22 ; 필리 3,5 참조) 이후 기원전 2세기경에 히브리는 구약성경의 언어와, 이 언어로 기록된 작품들을 의미하게 된다. 그 영향으로 우리는 오늘날 유대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히브리어라고 부른다.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 1862~1918)의 ‘이집트 2’(Egypt Ⅱ), 오스트리아 빈 미술사 박물관. 히브리인이 하비루인은 아니 었지만, 하비루인으로 불리는 사람 중에 히브리인들도 섞여 있었다. 히브리인들은 강대한 민족들의 용병으로 고용돼 전쟁에 가담하기도 했으며, 노예로 팔려가기도 했다. 특히 이집트에서는 다른 하비루들과 함께 피라미드를 쌓는 노역에 동원되기도 했다.

하지만 원래 히브리라는 명칭은 광범위하게, 통상적으로 사용되던 말이 아니었다. 유대인들은 스스로를 히브리인이라는 이름으로 부른 일이 거의 없었다. 주로 이방인이 이스라엘인들을 지칭할 때나,(창세 39,14 ; 탈출 2,6 ; 1사무 4,6 참조) 혹은 이방인에게 신원을 밝히려고 했을 때(창세 40,15 ; 탈출 3,18 ; 유딧 10,12 참조) 간헐적으로 쓰였다.

사실 유대인들은 히브리라는 용어보다는 ‘이스라엘’이라는 말을 선호한다. 흥미로운 점은 이 명칭이 담고 있는 의미가 지금까지도 유대인들의 정체성을 이야기할 때 종종 거론된다는 점이다.

야곱이 얻은 이스라엘이라는 이름에는 ‘하느님과 겨룬 사람’, ‘하느님께서 싸우신다’, ‘하느님께서 싸워주시기를’, ‘신들과 싸우는 사람’, ‘하느님을 위해 싸우는 사람’, ‘하느님의 정직한 종’, ‘하느님의 지배로 움직이는 사람’ 등 다양한 의미가 있다.

이러한 해석들 중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함의가 있다. ‘싸우다’가 그것이다. 이스라엘이라는 이름 자체가 전투적이고 투쟁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이스라엘은 ‘지금도’ 싸우고 있다. 척박한 자연환경과 강대국들의 위협 속에서 살아야 했던 유대인들에게 ‘싸움’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었을 것이다. 그 싸움의 틈바구니 속에서 사라져간 민족이 하나둘이 아니다. 이스라엘이라는 이름의 주인공, 야곱이 처한 환경도 그러했다. 야곱에게 있어서 가나안 땅은 나그네살이를 해야 하는 이방인의 땅이었다. 그것이 현실이었다.

“야곱은 자기 아버지가 ‘나그네살이 하던 땅’, 곧 가나안 땅에 자리를 잡았다.”(창세 37,1)


글 _ 편집부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23-11-28

관련뉴스

말씀사탕2024. 11. 26

마르 9장 50절
너희는 마음에 소금을 간직하고 서로 평화롭게 지내라.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