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4일
사람과사회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주님, 자식을 위해 밥상을 차리는 엄마들에게 강복하소서(2)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그러던 어느 하루, 한밤중에 두툼한 갈치구이가 너무 먹고 싶어 잠이 안 왔다. 그래서 냉동실에 두 토막 남아있던 갈치를 모두 꺼내 프라이팬에 노릇노릇 구웠다. 그리고 찬밥을 물에 말아 두툼한 갈치 살과 함께 정신없이 퍼먹고 있는데 잠을 자다 냄새를 맡고 나온 남편이 부엌에 쪼그리고 앉아 뭔가를 먹고 있는 내 뒷모습을 본 거다.


“뭐해??”


나는 무덤에서 간을 파먹고 있는 구미호처럼, 한 손에 갈치를 들고 남편을 돌아보았다.


“밥 먹잖아….”


“지금이 몇 신데?”


그 늦은 밤에 내가 왜 갈치를 들고 밥을 퍼먹고 있는지 설명해 준다고 이해할 수 있을까. 내가 먹을 갈치 뒷면을 아이들에게 모두 뺏겨버린 어미의 슬픈 비애는 어떻게 포장해서 말해본들 ‘쪽팔린 식탐’일 뿐이었다. 어쨌거나 그날, 두툼한 갈치 두 토막을 야무지게 발라 누구에게도 양보하지 않고 나 혼자 다 먹은 다음, 몹시 만족스러운 기분으로 잠이 들었던 기억이 난다.


딸기도 달콤하고 싱싱한 건 아이들에게 먹이고 짓무르고 덜 익은 건 내가 먹으며 ‘엄마니까 그래야 하는 거야’라고 머리로는 이해하면서도 마음 한편으로는 ‘나도 맛있고 좋은 거 먹고 싶다’며 억울해하던 철없는 엄마였다. 치킨을 먹을 때도 퍽퍽한 가슴살 말고 닭다리부터 뜯고 싶었지만 보고 듣고 배운 게, 엄마는 아이에게 더 맛있고 좋은 것을 먹여야 한다는 생각으로 참고 양보했다. 세상에 어떤 엄마가 애들한테 먹이는 걸 아까워하냐고 한심해할지 모르지만 스물일곱에 엄마가 되어버린, 어리고 미숙한 시절이라 그랬다.


전역한 아들에게 전복을 구워주며, 군대 있을 때 누가 제일 많이 생각났냐고 물었다.


“물론, 엄마죠.”


“왜 엄마가 제일 많이 생각났어?”


“엄마가 해주는 밥, 그게 먹고 싶더라고.”


“내가 음식을 좀 잘하긴 하지. 너네 어려서부터, 자장면이고 피자고 집에서 만들어 먹였잖아. 그러고 보면 참 좋은 엄마였어, 안 그래?”


“뭐 그런 것도 있지만, 엄마가 해주는 밥은 인간미가 있잖아. 군대라는 곳은 인간미가 없어. 때 되면 먹고 누가 더 먹으라고 챙겨주거나 맛없다고 타박도 못하고 그냥 욱여넣어야 하거든. 그래서 엄마가 해주는 밥이 먹고 싶었어요.”


인간미가 있는 밥. 아이의 표현이 참 고맙다는 생각이 들었다. 비록 아이들에게 최고의 엄마, 좋은 엄마였다고 자부할 수 없지만 그래도 인간미 넘치는 밥을 먹여 키웠구나, 싶어서. 내가 해준 음식을 맛있게 싹싹 비우는 아들을 보며 엄마라는 게 뭐 대단하고 거창한 게 아니라 따뜻한 밥을 해서 먹이는 사람, 그 정도로 기억되는 것만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밥은 곧 생명이다. 그래서 우리는 음식을 먹기 전, 손을 모으고 기도한다.


‘주님, 은혜로이 내려주신 이 음식과 저희에게 강복하소서.’


그리고 하나 더, 아이들을 위해 오늘도 따듯한 밥상을 차려내는 엄마들에게 강복하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하나이다. 아멘.



글 _ 김양미 비비안나(소설가)



[기사원문보기]
가톨릭신문 2024-12-31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4. 4

시편 30장 8절
주님의 자애로 저는 기뻐하고 즐거워하리니, 당신께서 저의 가련함을 굽어보셨나이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