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5월 4일은 15번째 맞는 생명 주일입니다.
주교회의 생명윤리위원장 문희종 주교는 담화에서 인간 존엄성과 생명 가치 수호에 힘쓰자고 전했습니다.
김영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올해 생명 주일 담화 주제는 ‘과학 기술 시대의 인간 존엄성’입니다.
문희종 주교는 담화에서 “과학 기술은 하느님께서 주신 인간 창의력의 놀라운 산물이자 우리 삶과 세상의 지평을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정의했습니다.
그러면서도 과학 기술 발전을 우려했습니다.
자칫 생명의 가치와 인간 존재의 의미를 위협하는 새로운 위험을 불러올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유전자 조작 기술과 합성 생물학의 발전은 뜻밖의 돌연변이가 생기거나 생물학적 무기를 개발할 가능성을 높인다는 것입니다.
문 주교는 “과학 기술은 윤리적 고찰과 책임 있는 기술 발전이 바탕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과학 기술이 단순히 편의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발전하면 인간성을 상실할 가능성도 커지기 때문입니다.
문 주교는 “가톨릭 교회는 과학 기술로 발전하는 사회 속에서 최우선적 자리를 잃어버린 생명의 현실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나아가 “과학 기술은 결코 가치 중립적이지 않으며 그 쓰임 방식에 따라 사회와 인간의 삶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습니다.
과학 기술이 특정 집단의 이해관계에 따라 사회적 기회를 통제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입니다.
따라서 과학 기술 시대에 우리는 더 인간다운 방식으로 관계 맺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문 주교는 특히 “인간을 대체하는 데 기술을 쓸 것이 아니라, 인간을 위한 봉사의 도구로 써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
기술을 통한 인류 번영의 중심에 생명, 특히 가장 취약한 이들이 자리할 수 있도록 그들을 가장 먼저 배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문 주교는 “과학 기술의 발전 속에서 우리가 무엇보다도 앞세워 지켜야 할 가치는 생명”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리스도 예수님을 따라, 무엇에도 양보할 수 없는 생명을 수호하며 희망의 표징이 되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라는 것입니다.
문 주교는 “모든 그리스도인이 가장 작은 이들을 향한 돌봄을 실천하며 인류 공동체에게 인간 존엄성과 생명의 가치를 수호하는 희망을 전하는 길을 보여 주기를 바란다”고 요청했습니다.
CPBC 김영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