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8일
교구/주교회의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신자 증가율 소폭 상승… 회복세 더뎌”

‘한국 천주교회 통계 2024’, 팬데믹 이전 수준 회복 못해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한국 교회의 신자 증가율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자 증가율은 2014년(2.2)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2019년에는 0.8,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에는 0.1로 급격히 낮아졌다. 2024년 신자 수는 전년 대비 0.5 증가하며 2020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지만, 여전히 2019년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다.

주교회의가 4월 23일 발표한 ‘한국 천주교회 통계 2024’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한국 천주교회 교적 신자 수는 599만 7654명으로, 같은 기간 대한민국 총인구(5270만 5574명) 대비 11.4를 차지했다. 신자 비율은 2020년 11.2, 2021년과 2023년 각각 11.3를 유지하다가 올해 전년 대비 0.1p 소폭 상승했다.

신자의 성비는 남성 43(257만 9426명), 여성 57(341만 8828명)로, 2023년과 동일한 비율을 유지했다. 연령별로는 29세 이하 신자가 전체의 16, 65세 이상은 27.5였으며, 30~64세 신자가 가장 많은 56.4를 차지했다. 교구별로는 수도권 교구(서울·인천·수원·의정부)에 전체 신자의 55.9(334만 9986명)가 집중돼 있었다. 전국 본당 수는 2023년과 동일한 1739곳으로 집계됐으며, 공소는 702곳으로 전년 대비 6개가 줄었다.

영세자 수는 2021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4년 영세자는 5만 8348명으로, 2023년 대비 13.7 늘었으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8만 1039명) 대비 72 수준까지 회복했다. 팬데믹 첫해인 2020년에는 3만 285명으로 전년 대비 62.6 급감했으나, 이후 2021년 3만 6540명, 2022년 4만 1384명, 2023년 5만 1307명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주일 미사 평균 참여자 비율은 전체 신자의 15.1(90만 2953명)로, 전년 대비 1.6p 상승했다. 2023년 주교회의 추계 정기총회 결정에 따라 2024년부터 본당 외 성지, 병원 원목실, 사회복지·사회사목 시설, 수도원 등에서 봉헌된 주일 미사 참여자도 집계에 포함됐다. 견진성사·병자성사·고해성사·영성체 인원은 전년 대비 각각 5.0, 8.3, 9.5, 12.2 증가했다. 다만 일부 교구는 여전히 감소세를 보였다.
 

성직자는 총 5751명으로 전년보다 30명 증가했고, 남녀 수도자는 1만 1357명으로 116명 줄었다. 해외 선교사는 64개국에 989명이 파견됐다. 가장 많은 인원이 파견된 국가는 베트남(129명)이며, 이어 필리핀(74명)·잠비아(57명)·일본(52명)·인도네시아(51명)·중국(47명)·페루(44명) 순이었다.

‘한국 천주교회 통계’는 주교회의가 매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전국 16개 교구와 6개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173개 남녀 수도회·선교회·재속회, 5개 신심·사도직 단체, 교구 법원 현황을 전수 조사해 집계한 자료다.

이지혜 기자 bonappetit@cpbc.co.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25-05-07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5. 8

갈라 5장 13절
형제 여러분, 여러분은 자유롭게 되라고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다만 그 자유를 육을 위하는 구실로 삼지 마십시오. 오히려 사랑으로 서로 섬기십시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