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AN] 인도 가톨릭교회와 개신교회가 종파를 초월해 8월 10일 수도 뉴델리와 남부 지역에서 달리트(Dalit) 출신 그리스도인에 대한 할당 혜택 폐지 75주년을 기념했다.
달리트는 인도 계급 제도인 카스트에서 최하층을 말한다. 인도는 헌법으로 달리트의 사기를 북돋기 위해 정부와 연방 의회, 주 의회, 교육기관의 일자리 등에서 고용 할당과 혜택을 주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1950년 인도는 대통령령으로 힌두교가 아닌 종교에는 카스트 제도가 없다는 이유로 달리트 출신 그리스도인에 대한 할당 혜택 폐지를 규정했다.
타밀나두주 18개 교구에서는 수많은 신자들이 집회를 열거나 인간 사슬을 만들었고, 검은 깃발을 주택과 성당 위에 올려 달리트 출신 그리스도인에 대한 할당 혜택 폐지에 항의의 뜻을 표현했다.
인도 정부는 1950년 대통령령 시행 이후 달리트 출신 시크교 신자와 불교 신자에 대해서는 할당 혜택을 부여했지만, 달리트 출신 그리스도인과 무슬림에게는 할당 혜택을 계속 거부했다. 그리스도교와 이슬람은 평등을 추구하는 종교라는 것이 거부의 이유였다.
델리대교구장 아닐 카우토 대주교는 8월 11일 “달리트 출신 그리스도인들이 다른 종교의 달리트 출신들과 동등한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쟁이 75년 동안 계속되고 있다”며 “우리는 이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우토 대주교는 “인도 주교회의가 달리트 출신 그리스도인의 권익을 위한 투쟁에서 선두에 서 있다”고도 밝혔다.
이어 “달리트 출신 그리스도인에게 할당 혜택을 주지 않는 규정은 정의와 평등, 형제애뿐만 아니라 인도 헌법에서 보장하는 기회의 균등 원칙을 침해하는 것이므로 개정돼야 한다”면서 “그리스도인들은 인도 사회에 만연한 카스트 제도에 근거해 가해지는 차별과 분리를 없애기 위한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도 그리스도인들은 할당 혜택 폐지 규정이 바로잡힌다면 정부에 대해 달리트 출신 그리스도인에 대한 평등한 권리를 이전보다 폭넓게 요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인도 타밀나두주 주교협의회 사무총장 니티야 사가얌 신부는 “할당 혜택 폐지에 항의하는 시위 참가자들은 정부 고위 관리들에게 달리트 출신 그리스도인들에게 가해지는 공식적인 부정의(injustice)를 철폐해 달라고 요구하는 서한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인도 타밀나두주 마두라이대교구장 안토니사미 사바리무수 대주교는 “인도 달리트 출신 그리스도인 전체 인구의 70 이상이 타밀나두주에 거주하고 있다”며 “그리스도교를 믿는다는 이유로 우리가 태생적으로 부여받은 권리를 박탈당할 수는 없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