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과 약물에 의한 낙태를 무제한 허용하고 심지어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하는 모자보건법 개정안에 대해 우려를 전하기 위해서입니다.
주교회의 가정과생명위원회 총무 진효준 신부, 주교회의 생명윤리위원회 총무 유주성 신부를 비롯해 서울대교구에서 생명윤리를 담당하는 사제들도 총출동했습니다.
문창우 주교와 사제들은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을 만나 교회의 입장을 설명했습니다.
면담은 29분간 비공개로 진행됐습니다.
<문창우 주교 / 주교회의 가정과생명위원장>
“태아의 생명권과 여성권의 균형들이 차별적으로 진행되는 것에 대한 우려, 그리고 특별히 약물 남용이나 건강보험으로 만삭이 된 임신에 대해서 전면 허용되고 있다는 것에 대해서 강력하게 우리 교회는 반대하고 있다는 입장을 먼저 이야기를 드렸고요.”
면담 중엔 모자보건법 개정안 입법 추진에 반대하는 한국 천주교 주교단 성명서와 서울대교구의 입장도 전달됐습니다.
문 주교는 “가톨릭교회의 의견뿐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수용할 수 있는 법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했습니다.
박주민 의원은 “법안을 발의한 의원들에게 천주교회의 입장을 전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문창우 주교 / 주교회의 가정과생명위원장>
“저희들이 내민 여러 의견들을 자기들끼리 안에서 숙지하고 필요하면 저희들에게 연락을 해가지고 그러한 것들을 함께 나누는 기회들을 갖도록 노력하겠다고 말씀을 했던 것 같습니다.”
문 주교와 동행한 가톨릭대 생명대학원장 정재우 신부는 “국가가 나서서 낙태를 장려하는 것은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정재우 신부 / 가톨릭대 생명대학원장>
“태아를 보호해야 될 국가의 의무가 부정된 적은 없었다. 저희들이 그동안 공부하고 연구했던 것, 토론했던 것 이런 것을 가지고 힘을 실어드리기 위해서 이 자리에 왔고요.”
태아를 포함해 모든 인간 생명이 보호 받으려면 주교와 사제의 노력만으론 부족합니다.
문창우 주교는 신자들에게 생명운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문창우 주교 / 주교회의 가정과생명위원장>
“우리가 단지 항의 방문만의 형식적인 시간이 아니라 정말 그야말로 외연적인 외침을 우리가 외쳐야 될 시간이 분명히 왔고 지금이야말로 그 때가 아닌가. 그러한 것들을 힘을 많이 모아달라고 하는 말씀을 오늘 신자 여러분들에게 기도와 더불어 간곡히 요청드리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