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교구 총대리 구요비 주교가 2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서울대교구 총대리이자 생명윤리자문위원장인 구요비 주교는 “오늘날 안락사와 조력자살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는 것은 돌봄에 대한 희망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구 주교는 28일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열린 ‘생애 말기 돌봄’ 토론회 축사에서 “우리 사회가 효율성과 생산성만 강조하면 환자에 대한 돌봄은 소모적이고 무의미하게 보이고, 그 결과 환자는 죽음으로 내몰릴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구 주교는 “고통 중에 있는 환자의 자살을 돕는 것은 그릇된 자비이며 자비에 대한 참으로 위험한 왜곡”이라고 지적했다
또 “자기결정권도 결국은 살아있는 사람의 권리이기에 생명권보다 앞설 수 없다”면서 “결코 죽음을 권리로 인정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구 주교는 “돌봄은 한 사회가 얼마나 인간적인가를 가늠하는 척도”라며 “돌보지 않는 사회, 돌봄이 필요한 사람을 죽음으로 내모는 사회야말로 비인간화된 사회”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돌봄을 통해 병자들이 자기 존재의 의미를 재발견하도록 돕는 것이 의료의 사명”이라며 “생애 말기에 접어든 환자들에게 좋은 돌봄을 제공하고 고통받는 이들에게 인간다운 동반의 손길을 제공할 방안을 논의해보자”고 밝혔다.
오늘 토론회는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가 공동 주최했으며, 여의도성모병원 호흡기내과 윤형규 교수, 고려대 구로병원 가정의학과 최윤선 교수, 서울신내의원 이상범 원장이 연명의료 이행시기 확대의 문제점과 임종 돌봄의 필요성, 재가 돌봄 등에 대해 발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