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꿈 CUM] 건강한 꿈CUM _ 건강
복통은 누구나 한 번쯤 겪어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만큼 흔한 증상입니다. 그중에서도 명치 아래의 상복부나 가슴 부근에 극심한 통증이 찾아온다면 급성 췌장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췌장은 15cm가량 되는 긴 모양의 장기로 위 뒤쪽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호르몬을 분비해 혈당을 조절하는 내분비 기능과 소화 효소를 십이지장으로 분비하는 외분비 기능을 겸하는 역할을 합니다. 본래 췌장에서는 소화 효소가 활성화되지 않아야 합니다. 그런데 췌장의 문제로 소화 효소가 조기 활성화될 경우 췌장 실질의 부종, 출혈, 괴사를 유발하여 급성 췌장염을 일으키게 됩니다.
급성 췌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음주와 담석입니다. 술은 췌장에 직접적인 손상을 가할 수 있으며, 담석은 담낭으로부터 나와 췌관을 막는 경우 췌장액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해 췌장의 손상을 불러일으켜 췌장염으로 발전될 수 있습니다. 그밖에도 중성지방혈증이나 다른 약제의 영향 등으로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주요 증상은 명치 혹은 상복부에 심하고 지속적이며, 등 쪽으로 방사되는 급성 통증이 나타납니다. 복통 외에도 발열, 오심, 구토 및 복부 팽만감이나 식욕부진 등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급성 췌장염을 진단하는 방법은 명치 혹은 상복부 심한 급성 복통, 혈청 췌장 효소가 정상 상한치의 3배 이상, 급성 췌장염에 합당한 복부 영상소견이 보였을 때 진단할수 있습니다.
급성 췌장염은 금식 및 충분한 수액공급 등의 보존적 치료로 대부분 잘 치료되지만, 일부 중증도 이상의 심한 췌장염에서는 신장 기능 저하, 저산소증 등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인한 쇼크가 발생할 수 있어 전문적인 집중 치료를 필요로 합니다. 특히, 급성 췌장염으로도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드물지 않으며 약 50가 발병 2주 이내에 급격히 진행되기 때문에 초기에 적절한 치료가 합병증과 사망률 감소에 매우 중요합니다.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경우 만성 췌장염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만성 췌장염으로 진행되면 췌장이 섬유화되면서 췌장 기능이 회복되지 못할 수 있고, 그 결과 만성 복통과 당뇨병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급성 췌장염은 그 원인에 따라 예방법도 다른데 음주에 의한 급성 췌장염인 경우는 금주가 필수적이며, 담석에 의한 경우는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을 통한 담석 제거 시술이나, 담낭절제 수술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중성지방혈증에 의한 급성 췌장염의 경우는 중성지방을 낮추는 약물치료가 필요합니다. 반복적인 급성 췌장염은 점차 췌관 손상 및 췌장 실질의 섬유화를 일으켜 만성 췌장염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글 _ 손주웅 (미카엘, 충북 진천 혁신도시 서울바른내과의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