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 임금 격차, 여성의 저임금·비정규직 집중 등 우리 사회의 구조적 성차별을 해결하기 위해 성평등가족부가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한다.
성평등부는 20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현장 소통 간담회를 열고, 여성고용정책 추진을 위해 여성노동연대회의와 머리를 맞댈 예정이다.
여노연은 여성노동자의 권익 보호를 위해 활동하는 한국여성노동자회·한국여성민우회·한국여성단체연합·전국여성노동조합·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 연대한 단체다.
이는 고용노동부 산하에 있던 여성고용정책과 업무가 이달부터 성평등부로 이관되면서, 여성고용 관련 정책 추진에 대한 노동계의 불신을 잠재우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여성노동단체들은 지난달 30일 공동 성명을 내고, “아무리 성평등부가 역할을 강화한다고 한들, 근로감독 등 권한을 가지는 노동부 역할을 대신할 수는 없다”고 반대했다.
성평등부는 “최근 여성의 경력단절 현상완화와 일·생활 균형 문화 확산과 같은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 여건은 다소 개선되고 있으나 여전히 성별 임금 격차와 여성의 저임금·비정규직 집중 등 구조적 성차별 문제는 해소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지역별 고용조사에 따르면, 경력단절여성 규모는 2020년 150만 6000명에서 지난해 121만 5000명까지 늘어났다. 성별임금격차도 OECD 평균 11.3에 비해 2020년 31.5로 큰 편이었다. 지난해에는 29.3로, 그 격차가 눈에 띄게 감소하지 않았다.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를 보면, 임금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 비율도 여성은 47.3이고 남성은 30.4로 격차가 여전히 존재했다.
성평등부는 이 같은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노동시장 환경에 대응하는 정책지원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원민경 성평등부 장관은 “이번 간담회는 고용노동 정책에 있어 성평등 관점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이라며 “여성이 차별 없이 동등한 기회와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앞으로도 여성 노동 현장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듣고,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