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ㆍ산재 피해 가족 및 종교계, 시민사회단체들이 촉구하며 안전 문제 관심 호소
재난ㆍ산재 피해 가족 및 피해자 주체 안전운동단체,
종교계, 시민사회단체들이 대선 TV토론에서 ‘생명과 안전’ 문제를 다룰 것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16일 대선 후보와 각 정당, 선관위, 방송과
기자협회에 보낸 공동 요청서에서 “지난 1월 27일, 중대재해처벌법이 발효되었지만,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 삼표 양주 채석장 매몰 사고, 판교 신축공사장 추락
사고, 여천NCC 폭발 사고 등 죽음의 행렬은 끊이지 않고 있다”며 “그럼에도 ‘생명과
안전’에 대한 공약은 언론과 포털 뉴스에서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며, TV토론에서도
외면받고 있다”고 밝혔다.
반복되는 대형 사고를 막기 위한 근본적 대책도 촉구했다.
“정치권은 대형 사고가 발생할 때만 잠시 관심을 가질 뿐, 사람이 죽고 다치는 안전사고는
반복되고 구조적·근본적 원인에 대한 진단과 해법 모색은 부재한다”며 “그
결과, 대한민국은 국민 누구나 언제 다치거나 목숨을 잃을지 모르는 ‘후진적 위험사회’이며
고통은 국민의 개인 몫으로 전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의 생명과 안전
보호는 국가의 가장 기본적 책무”라며 “안전은 헌법상 생명권과 인간의 존엄성,
자유와 평등, 기본적 인권의 전제”라고 강조했다.
이들 단체는 “사람의 생명과 안전보다 더 소중한
일이 무엇이며 더 시급한 현안이 어디 있냐” 반문하며 “대선 후보 토론장에서 대선
정책 토론에서, 그리고 각 언론사와 포털의 대선 기사에서 ‘생명과 안전’ 문제가
주요하게 다뤄질 수 있도록 언론인들의 관심과 취재”를 부탁했다.
천주교에서는 교구 정평위와 노동사목위원회, 사회사목국, 여자 수도회 장상연합회 JPIC분과 위원회 등이 공동 요청서에 뜻을 함께했다.
백영민 기자 heelen@cp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