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교구 민화위 평화나눔연구소창립 8주년 기념 세미나 개최 정전 70년의 한반도가 나아갈 길과우크라이나 전쟁·지정학적 격변 논의
폰트 작게폰트 크게인쇄공유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한반도 정전 체제 안에서 평화와 화해의 길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서울대교구 민족화해위원회 부설 평화나눔연구소(소장 홍용표)는 3월 30일 서울대교구청에서 ‘정전 70년의 한반도와 우크라이나 전쟁’을 주제로 연구소 창립 8주년 기념 세미나를 개최했다. 12명의 전문가 발제와 토론으로 국제 정세와 한반도 상황을 분석하고 평화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시간이었다.
장세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은 “우크라이나 전쟁도 결국은 대화와 타협을 통해 종식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현재는 전쟁이 지상 화력전을 중심으로 치열한 ‘소모전’이 전개 중이라면서도 “역사상 영원한 전쟁은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전쟁의) 임계점을 올해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차태서 성균관대 교수는 이어진 ‘포스트-우크라이나 전쟁 시대 세계질서의 전환과 한반도에의 함의’ 주제 발표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두 나라, 혹은 유럽에 국한될 전쟁 상황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미국이 유일한 패권국이라는 이른바 ‘단극체제’가 불명확해지고, 다질서 세계가 부상하는 하나의 징후라고 밝혔다. 이러한 지정학적 격변기 안에서 한반도도 큰 위험성을 안고 있다고 우려했다.
장 위원은 이어진 토론에서 현재 전쟁이 겉으로 러시아와 전 세계의 싸움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러시아 제재에 참여하는 나라는 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 중간 지대에 남아있어 그 양상이 다르게 전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무리 지켜봐도 러시아가 유리한 국면”이라며 우리나라도 국익의 관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차 교수는 “역사상 다른 체제를 악으로 몰아가면서 하나의 세상을 건설하려 할 때 엄청난 재앙을 불러왔다”며 “이 세계는 불완전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적절한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진 세션은 한반도 정전체제 상황에 집중했다. 황지환 서울시립대 교수는 미국의 단극체제에서 다극세계로 변화하는 현재 국제정세를 북한 역시 너무나 잘 인식하고 있다고 했다. 황 교수는 이어 ‘한미동맹의 딜레마’에 관해 언급하면서 “북한의 핵과 인권 문제 등에 대한 대응 과정에 뚜렷한 해결책이 보이지 않는다”며 “평화와 나눔의 정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병로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교수도 정전 70년의 한반도 정세는 오히려 더 복잡해졌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정전 체제가 최소한의 평화라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지, 서로를 적대화시키는 구조적 파멸을 낳는지에 대해 긴장과 모호성이 있다”면서 ‘3중적 평화’라는 해결책을 내놨다. 힘에 의한 평화인 ‘안보’, 대화와 협상을 통한 평화인 ‘외교’, 교류와 협력을 통한 평화인 ‘경제’가 그것이다. 김 교수는 “평화는 힘으로 지키는 평화유지에서 출발하지만,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평화를 만들고 세워나가는 평화 조성과 평화 구축의 복합전략이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남북의 화해 문제는 한반도 평화를 위해 풀어야 할 가장 중요한 주제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양쪽 모두 분단의 피해자라는 인식을 공유하고, 서로 사과함으로써 화해를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먼저 수용하고 들을 수 있는 역량은 종교에 있다”며 교회와 종교의 역할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