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25일
기획특집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한국교회 사제열전] 정규량 신부(하)

6 25 전쟁 때도 피란가지 않고 신자들 돌봐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 동료 사제 및 신학생과 함께 한 정규량 신부(연대는 알 수 없음. 출처 `용인본당 50년사`
 

   정규량 신부는 1924년 6월 6일 부여 금사리본당 제3대 주임으로 부임했지만 현지 사정은 좋지 않았다. 서천 지역 자근재, 송동, 독매 등 세 공소 교우들이 전임 신부의 유임 운동을 벌이는 바람에 빚어진 `자근재 사건`으로 신자들 사이에 불목이 심했던 것이다.
 정 신부는 때로는 타이르고, 때로는 엄하게 꾸짖으며 불목하는 신자들을 진정시키고 화합으로 이끌고자 했지만 쉽지 않았다. 서울에 있는 교구장 뮈텔 주교에게 보낸 서한에서 "본당 내에 파벌이 있어서 서로 싸우고 있는데, 쉽게 진정될 것 같지 않습니다. 저는 장애물을 제거하려고 하나 저들은 도리어 장애물을 놓습니다" 하고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 위령성월을 맞아 용산 성직자묘역에서 기도하는 신자들.
제일 앞쪽이 정류량 신부 묘지다. [전대식 기자 jfaco@pbc.co.kr]
 

원주본당 부임 배론성지 토대마련

 정 신부는 압고지에서와 마찬가지로 금사리에서도 학교를 세웠다. 이번에는 `계명여자학술강습회`라는 4년제 과정 여학교였다. 학교 설립은 지역사회의 요청일 뿐 아니라 교우들 단합, 교우 처녀들 교육과 외교인 처녀들 전교를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판단해 시작한 것이다. 이 여학교는 1927년 보고에 따르면 30명 학생이 있었지만 재정적으로는 큰 부담이었다. 이 여학교는 정 신부가 금사리를 떠난 후 1932년까지 계속됐다.
 금사리에서 정 신부는 교우들 분란과 재정적 어려움 등 여러 악재에도 불구하고 갈매못 순교터를 확인하고 부지를 매입했을 뿐 아니라(지난 호 참조), 성당 묘지로 쓸 산도 매입, 교회 재산으로 귀속시켰다. 또 청년회를 조직하고 공소회장단 피정을 실시하는 등 본당 사목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정 신부는 1928년 원주(현 원주 원동) 본당으로 전임된다. 초임지인 압고지본당에서 11년이나 지낸 것과는 달리 4년 만에 이뤄진 인사여서 정 신부에게도 뜻밖이었다. 그래선지 정 신부가 원주성당 환영회에서 "이번 신부 교체는 의외의 일이나 주명(主命)을 복종할 수밖에 없사오니…"라고 말했다.
 정 신부의 원주 부임은 1896년에 설정된 원주본당이 28년에 걸친 파리외방전교회 소속 선교사제들 관할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한국인 사제가 사목을 담당하게 됐다는 의미를 지닌다. 정 신부는 원주에서 10년 동안 사목하면서 몇 가지 중요한 업적을 남기게 된다.
 우선 꼽을 수 있는 것은 배론성지 보존. 배론은 황사영(알렉시오)이 백서를 쓰고 숨어 있던 곳이자 조선 땅에 최초로 신학교가 세워져 운영됐던 곳이었다. 게다가 한국교회 두 번째 사제 최양업 신부도 배론에 모셔져 있었다. 정 신부는 1929년 풍수원주임 정규하 신부와 용소막주임 이철연 신부와 함께 배론을 답사하고 그에 관한 기록을 「경향잡지」에 남겼을 뿐 아니라 배론 일대 약 660만㎡(200만평)에 이르는 부지를 교회 부지로 귀속시켜, 오늘날 배론성지의 토대를 놓았다.
 이 부지는 배론 지역 신자들의 공동소유였으나 정 신부는 교우들이 합심해 잘 관리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자칫하면 군이나 면 소유지로 바뀔 수도 있다고 보고 두 신부와 협의해 천주교재단(당시 경성교구) 소유로 등기 이전한 것이다. 이 역시 순교자 후예인 정 신부의 각별한 순교신심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정 신부는 매일같이 순교선조들의 행적을 읽고 묵상했다고 한다.
 교육사업 또한 정 신부의 큰 관심사였다. 압고지(삼성강습소)와 금사리(계명여자학술강습회)에 이어 원주에서도 정 신부는 1931년 4년제 강습소인 소화학원을 설립, 운영했다. 그뿐 아니라 1934년에는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수녀들을 본당에 초청하면서 소화유치원까지 설립했다. 수녀들이 무료로 아이들을 가르치고 돌본 소화유치원에는 원아가 200명이나 됐고, 소화학원 역시 150명 정원을 넘었다. 소화학원은 1937년 일제 탄압으로 결국 폐쇄됐으나 소화유치원은 지금까지 계속 운영되고 있다.
 이밖에 정 신부는 교리교육에도 신경을 써 사순시기에는 교리 문제를 만들어 신자들에게 배부해 공부하게 한 후 성지주일에 시험을 보고 부활 축일에는 공소교우들까지 전신자가 모인 가운데 시상하기도 했다. 또 청년 교육을 위해 1937년 성탄절을 기해 가톨릭청년회를 설립했는데 강원도 최초 가톨릭청년회였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 때여서 청년들의 활동은 많은 제약을 받았다.

공세리에 김대건 신부 기념비 세워

 정 신부는 1938년 6월 21일 원주본당에서 은경축을 맞지만 그해 여름 성골롬반외방선교회가 경성교구(서울대교구)로부터 강원도 지역을 위임받으면서 다시 충남 아산 공세리본당으로 전임된다. 강원도 지역은 이듬해 춘천교구 설정과 함께 춘천교구에 편입됐다.
 순교선조들 자취가 서린 순교성지(또는 사적지)를 발굴 보존하며, 나아가 순교정신을 함양하려는 정 신부 노력은 공세리에서도 이어졌다.
 1939년은 기해박해 100주년이 되는 해였고, 한국교회는 1925년 로마에서 열린 시복식을 통해 기해ㆍ병오박해 순교자 79위를 복자로 모시고 있었다. 기해박해 100주년을 기념해 그해 가을 공세리본당 청년회는 순교자들의 정신을 기리는 성극 `고양`을 13차례나 공연했는데 관람객이 2000명이 넘었을 정도로 호응이 컸다고 한다.
 정 신부는 본당 순교자들의



가톨릭평화신문  2009-11-29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8. 25

에페 3장 20절
하느님께서는 우리 안에서 활동하시는 힘으로, 우리가 청하거나 생각하는 모든 것보다 훨씬 더 풍성히 이루어 주실 수 있는 분이십니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