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3일
기관/단체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한반도 평화, 신뢰 구축 등 선순환 만들어야

미 주교회의 국제정의평화위원장 대주교 방한 기념 간담회, 동북아 정세 토론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 미국 주교회의 국제정의평화위원회 위원장 브롤리오 대주교(앞줄 가운데)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12월 18일 간담회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과 미국, 두 나라 가톨릭교회가 함께 한반도 평화를 두고 머리를 맞댔다. 연대 방문차 한국을 찾은 미국 주교회의 국제정의평화위원회 위원장 티모시 브롤리오(미국 군종대교구장) 대주교는 12월 18일 서울 면목로 주교회의 대회의실에서 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회 주최로 열린 간담회에 참석, 한반도에 항구적 평화가 깃들게 하기 위한 한국 교회의 기도 운동과 남북 교류협력, 동북아 정세 전반에 대해 듣고 의견을 나눴다.

백장현(대건 안드레아)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 연구위원은 ‘남북ㆍ북미 관계 현안 발표’를 통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는 북핵 폐기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이 맞물리면서 선순환함으로써 완성되는 과정이고, 두 사안 모두 긴 시간이 있어야 하는데, 북미 사이에는 오랜 기간 인내심을 갖고 합의를 이행할 상호 신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향후 협상에 우려를 드러냈다. 이에 브롤리오 대주교는 “북한의 핵무장 정도나 실제로 핵 폐기 가능성이 있는지, 북 당국자의 비핵화 의지를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는지”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변진흥(야고보) 가톨릭동북아평화연구소 연구위원장은 “미국이 북측에 비핵화 이행 의지 여부를 묻는 건 당연하다”면서도 “단번에 모든 문제를 풀려고 하기보다 북미 간 신뢰를 쌓아가면서 남북 관계를 개선해 나가는 선순환 구조를 먼저 만드는 게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북한 인권 문제도 주제로 등장했다. 탈북자 출신인 강미진(데레사) 데일리NK 북한팀장은 “북한의 인권 상황이 낮은 측면도 없지 않지만, 다른 나라들도 대부분 인권침해 사례가 발생하는 상황을 볼 때 북한 인권만 색안경을 끼고 바라봐서는 안 된다”며 “‘아니면 말고’ 식의 북한 왜곡 보도도 문제가 크다”고 꼬집었다. 또 최근 북한의 인권 상황이 다소 좋아지고 있다는 징후가 보인다고 밝혔다.
 

브롤리오 대주교와 함께 방한한 버지니아 루 패리스 미국 주교회의 국제정의평화위원회 국제정책 자문위원은 “북한 인권이 좋아지고 있다면 다행”이지만 “앞으로도 대화를 통해 북 인권을 개선하기 위해 계속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회 총무 이은형 신부는 “평화로 향하는 여정이 쉽지는 않지만, 이 모든 장애와 변수는 신앙으로 극복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호소했다.
 

메리놀 외방선교회 한국지부장 함제도 신부도 “지난가을엔 미 국무성의 방북 승인을 받지 못해 매년 두 차례씩 봄 가을로 이뤄져 온 방북을 하지 못했다”며 “신뢰는 먼저 접촉하고 대화를 통해 풀어나가야만 쌓을 수 있고 그래야 일이 된다”고 강조했다.
 

간담회 뒤 브롤리오 대주교는 주교회의 의장 김희중 대주교, 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회 위원장 이기헌 주교를 만나 환담했다.
 

오세택 기자 sebastiano@cpbc.co.kr



[기사원문보기]
가톨릭평화신문  2018-12-26

관련뉴스

말씀사탕2025. 10. 23

신명 30장 5절
주 너희 하느님께서는 너희가 그 땅을 차지하고 조상들보다 더 잘되고 번성하게 해 주실 것이다.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