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희년과 제주 : 4·3의 회복과 이름 찾기’를 주제 포럼에서 제기
“제주 4·3을 ‘사건’이 아닌 ‘항쟁’으로 불러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제주교구 사회사목위원회(위원장 양용석 신부)가 20일 ‘2025년 희년과 제주 : 4·3의 회복과 이름 찾기’를 주제로 교구 중앙주교좌성당에서 개최한 제8회 ‘제주, 기쁨과 희망 포럼’에서다.
제주 4·3은 1947년 3·1절 기념 제주도대회에서 경찰이 쏜 총에 주민 6명이 사망한 사건(3·1)이 발단이 됐다. 공산주의 정당인 남조선노동당이 주도한 민관합동 총파업과 무장봉기가 이어졌고,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주민이 희생됐다. 그러나 공산주의 정당이 주도했다는 이유로, 봉기로 인정되지 않아 ‘항쟁’이 아닌 ‘사건’으로 불리고 있다.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이재승 교수는 “제주도민은 사적 혹은 공적인 모임이나 시민사회 공론장에서 제주 4·3에 대한 적절한 명칭에 대한 올바른 이름을 찾아야 한다”며 “스스로 바르게 부를 때 후속 세대와 심지어 가해자도 그 이름의 주인들을 존중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발의된 4·3 특별법들에 정의를 명확히 설명해 항쟁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사망·행방불명·후유장해 등으로 한정된 4·3 피해 범주를 피해자와 유족의 다양한 인권 침해 피해 및 손해로 확대해 보완 입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양조훈 전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도 “도의회는 ‘제주 4·3 항쟁’이라는 명칭이 담긴 조례를 제정해 궁극적으로 특별법의 명칭과 정의 조항 개정을 이룰 필요가 있다”며 “이념 논쟁을 넘어 4·3을 재평가하는 것은 한국의 민주화 수준에 비례한다”고 강조했다.
주진오 전 4·3 중앙위원 겸 추가진상조사분과위원장은 “이름이 똑바로 불리지 못해 70주년에도 4·3 평화기념관에 누운 백비를 세우지 못했다”며 “3년 뒤인 80주년에는 화해와 상생을 위한 정명을 이루길 소망한다”고 전했다.
박예슬 기자 okkcc8@cp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