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안나) 여사가 5월 11일 선종했다. 향년 97세.
경기 광주 나눔의 집에 따르면, 고인은 지난해 3월부터 성남의 한 요양병원에서 지내다 건강 악화로 세상을 떠났다. 빈소는 용인 쉴낙원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5월 14일이다. 생전 고인의 뜻에 따라 유해는 인천 앞바다에 뿌려진다.
1928년 부산에서 태어난 고인은 14살 때 중국에 있는 일본군 비행 부대로 끌려가 3년간 일본군 위안부로 고초를 겪었다. 고인의 손과 발에는 위안부 시절 일본군 도검에 찔린 흉터가 남아있다. 가혹했던 구타의 후유증으로 치아가 빠지고 청력이 떨어져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었다.
고인은 광복 후에도 귀국하지 못한 채 중국에 머물다 2000년 6월 58년 만에 고향에 돌아와 국적을 회복했다. 귀국 후 위안부 피해자들의 인권 회복과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촉구하는 활동에 뛰어들었다. 2002년 미국 브라운대 강연을 시작으로 20년 가까이 일본군 위안부 참상을 전 세계에 알렸다. 2013년에는 미국, 독일, 일본 3개국 12개 도시를 오가는 강행군을 소화했다.
신앙생활에도 모범을 보였다. 1970년 중국에서 세례를 받은 고인은 해외 일정 중에도 반드시 주일미사를 참례했다. 2019년 본지와의 인터뷰에서도 “영혼의 구원을 믿으니까, 천국 가고 싶어서 성당에 열심히 다닌다”고 밝혔다. 이 여사의 선종으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6명으로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