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닫기
하루동안 열지 않습니다.
2025년 8월 15일
교구/주교회의
전체기사 지난 연재 기사
[부고] 천주교 서울대교구 유경촌 주교 선종

폰트 작게 폰트 크게 인쇄 공유

유경촌 주교

 

천주교 서울대교구 유경촌 주교(티모테오, 1992년 서품)815() 오전 028분 병환으로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서 선종했다. 향년 64.

 

() 유경촌 주교는 1962년 서울에서 태어나 1980년 성신고등학교, 1984년 가톨릭대학교를 졸업했다. 유 주교는 사제가 되기 전인 1988년부터 4년 동안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로 유학을 떠났다. 이후 1992년 사제품을 받은 그는, 프랑크푸르트의 상트게오르겐대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취득해 신학적 깊이를 쌓았다.

 

귀국 후 1999년 목5동 성당 보좌 신부로 사목을 시작한 유 주교는 같은 해 가톨릭대학교 윤리신학 교수로 임명돼 교육과 연구 활동으로 사목 영역을 넓혔다. 이 시기 그는 가톨릭 사회교리의 확산과 각종 사회문제에 대한 교회의 시각을 전하는 데 힘썼다.

 

유 주교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서울대교구 통합사목연구소장을 역임하며 서울대교구 규정집발간을 주도했다. 이 규정집은 교구 설정 180주년을 맞아 교구 행정과 사목 현장을 체계적으로 뒷받침하는 지침서로, 사목 행정의 전문화와 효율화를 이루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31230,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서울대교구 보좌주교로 임명된 유 주교는 이듬해 25일 주교로 서품됐다. 이후 서울대교구 사회사목담당 교구장대리로서 사회적 약자 보호, 환경 보전, 정의와 평화 실현을 위해 헌신해왔다.

 

20131231, 서울대교구 보좌주교로 임명된 유경촌 주교와 정순택 대주교(당시 주교)가 염수정 추기경(당시 대주교·서울대교구장), 조규만 주교(당시 교구 총대리)와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소신학교 시절부터 낮은 자와 함께하는 사제가 되기를 다짐한 유 주교는 청빈과 겸손,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로 동료 선후배 사제들의 귀감이 되어왔다. 그는 사목 현장에서 사회적 약자들을 직접 만나 그들의 상황을 경청하며, 위로와 도움을 아끼지 않는 사목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쳤다.

 

빈소는 주교좌 명동대성당에 마련되며 장례 일정은 추후 공지될 예정이다.

 

 

 

유경촌 티모테오 주교 약력

 

 

1962. 9. 4.

서울 출생

1992. 1. 30.

사제 수품

1992. - 1998.

독일 프랑크푸르트 상트게오르겐 대학교 박사(신학)

1999. 3.

5동 본당 보좌

1999. 10.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2008. 2.

교구 통합사목연구소 소장

2013. 8.

명일동 본당 주임

2014. 2. 5.

주교 수품

2014. 2.

동서울지역 및 사회사목담당 교구장대리

2022. 1. - 2024. 3.

청소년담당 교구장대리

2022. 1. - 2024. 10.

ACN 한국지부 이사장

2025. 8. 15.

선종

 

천주교 서울대교구 홍보위원회 구여진



서울대교구홍보위원회 2025-08-15

관련뉴스

댓글0


말씀사탕2025. 8. 15

시편 31장 18절
주님, 제가 주님을 불렀으니, 수치를 당하지 않게 하소서.
  • QUICK MENU

  • 성경
  • 기도문
  • 소리주보

  • 카톨릭성가
  • 카톨릭대사전
  • 성무일도

  • 성경쓰기
  • 7성사
  • 가톨릭성인


GoodNews Copyright ⓒ 1998
천주교 서울대교구 · 가톨릭굿뉴스. All rights reserved.